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동심으로 돌아가 찰흙을 치대고 밀었습니다

2025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가가호호' 참여.
자녀와 함께 <우리집 예술밥상>에 참여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하트 그릇 제작.

2025.09.02 정책기자단 박영미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요즘 정부의 정책이 사용하는 단어부터 국민 친화적입니다.

'민생지원'이라는 단어가 대표적인데요.

문화예술 관련 교육사업도 그렇습니다.

'생활밀착형'이라는 단어가 쓰이고 있습니다.

정확히 말해 '2025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입니다.

군산문화관광재단 가가호호 프로그램. (출처=군산문화관광재단)
군산문화관광재단 가가호호 프로그램. (출처=군산문화관광재단)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추진하는 '2025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가가호호(家加好好)'가 전국적으로 활발히 운영 중입니다.

가가호호란, '가족이 함께하니 더없이 좋아 웃음소리가 울려 퍼진다'라는 뜻인데요.

이 지원사업은 가족 간 정서적 거리를 좁히고, 건강한 가족 여가문화를 만들기 위해 가족의 생애주기 및 관심사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입니다.

해당 사업 공모에 선정된 여러 기초지역문화재단에서 가족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데요.

제가 사는 지방 소도시에서도 가가호호 사업의 혜택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사실 몇 년 전에는 수도권에 비해 문화예술 교육 경험의 기회가 적다고 느꼈는데, 요즘은 그렇지 않습니다.

지자체 자체적으로 정부 공모 사업에 선정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기 때문이죠.

가가호호 사업 중 '우리집 예술밥상(청소년을 포함한 가족)'에 참여한 자녀.
가가호호 사업 중 '우리집 예술밥상(청소년을 포함한 가족)'에 참여한 자녀.

2025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가가호호'는 총 7종 이상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요.

어떤 세대 하나 소홀하지 않게, 전 세대별 다양한 가족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어 더욱 관심이 갔습니다.

36개월~60개월 자녀와 부모 참여, 만 4세~만 7세 자녀와 부모 참여, 청소년을 포함한 가족,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영화제작에 관심이 있는 군산시 내 가족, 손주가 18세 이상인 1·3세대 가족, 다문화 가정 자녀와 부모 등 세대별, 테마별 다양한 가족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어 프로그램 구성부터 마음에 들었습니다.

2025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가가호호'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시민.
2025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가가호호'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시민.

주제도 다양했습니다.

<예술로 오감놀이>, <이야기가 있는 예술놀이>, <우리집 예술밥상>, <예술로 신혼부부 탄탄대로!>, <온가족 시네마>, <할매랑 손주랑! 예술한스푼>, <우리가족 그림책 만들기> 등 주제만 들어도 참여하고픈 욕구가 샘솟았습니다.

'우리집 예술밥상' 지원 후 선정 문자.
'우리집 예술밥상' 지원 후 선정 문자.

지난 6월 미리 공고문을 보고, 신청 기간에 맞춰 참여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행운이 따르길 기대했는데, 지난 7월 <우리집 예술밥상> 프로그램에 선정됐다는 문자를 받았습니다.

초등학생 자녀와 함께 우리집 밥상을 채울 도자기 공예품을 제작하는 건데요.

자녀와 함께하기에 더 특별할 거라 기대했습니다.

우리집 밥상에 올릴 하트 모양 그릇 제작.
우리집 밥상에 올릴 하트 모양 그릇 제작.

지난 8월 27일, <우리집 예술밥상>이 열리는 지역 작가의 공방을 찾았습니다.

네 가족이 함께 교육에 참여하게 됐는데요.

저희가 만들 도자기는 하트 모양의 그릇이었습니다.

제작과 관련해 미리 시청각 자료를 보고, 강사의 차분한 설명과 함께 공예가 시작됐습니다.

얼마 만에 도자기 전용 찰흙의 촉감을 느껴보는지 모르겠습니다.

동심으로 돌아가 찰흙을 치대고 밀었습니다.

흘깃 보니 자녀는 꼬마 예술가라도 된 듯 사뭇 진지했습니다.

잘 민 찰흙을 원판에 올려놓고 하트 모양으로 자르니 삐뚤지만 제법 하트 모양이 나타났습니다.

그다음 스펀지로 완만하고 고르게 눌러주는 작업도 했습니다.

학교 교육 프로그램에서 찰흙을 자주 만져봤던 자녀는 저보다 능숙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색칠 시간입니다.

하트 그릇에 어떤 그림을 그릴지 고민하다 우리 가족을 그렸습니다.

그날의 날짜도 새겼습니다.

못 그린 그림이지만 우리 가족이 쓰니 괜찮습니다. 사랑과 정성이 담겼으니까요!

이 그릇을 볼 때마다 자녀와 함께했던 시간이 떠오를 것 같았습니다.

1시간 30분 남짓 수업을 마치고 돌아가는 길, 자녀가 그러더군요.

가족을 그린 하나밖에 없는 그릇 작품 탄생.
가족을 그린 하나밖에 없는 그릇 작품 탄생.

"엄마! 찰흙 촉감이 너무 좋지 않았어? 엄마! 그림 잘 그리더라~ 나 혼자 하는 것보다 엄마와 함께해서 너무 좋았어."

종알종알 수다를 멈추지 않았습니다.

가족이 함께하니 더없이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4주 후면 우리 집 밥상을 채울 하트 도자기가 나온다고 합니다.

하나밖에 없는 우리 집 작품이 벌써 기대됩니다.

4주 후면 우리 집 밥상을 채울 하트 도자기 수령.
4주 후면 우리 집 밥상을 채울 하트 도자기 수령.

2025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가가호호(家加好好)'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은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누리집의 공모 결과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지금 가족 신청자를 모집하고 있을지 모르니, 각 재단 누리집에 방문해 보세요.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누리집 바로가기

☞ (다른 기자의 글) '가가호호' 모여 '하하호호'로 꽃피우다


정책기자단 박영미 사진
정책기자단|박영미pym1118@hanmail.net
정책을 초콜릿처럼 꺼내 먹어요. 정책을 쉽고 편하게 전달할게요.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