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K-방역모델’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 극복에 앞장섭니다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K-방역모델’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 극복에 앞장섭니다

  • K-방역모델,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 극복에 앞장섭니다 하단내용 참조
  • K-방역모델,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 극복에 앞장섭니다 하단내용 참조
  • K-방역모델,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 극복에 앞장섭니다 하단내용 참조
  • K-방역모델,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 극복에 앞장섭니다 하단내용 참조
  • K-방역모델,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 극복에 앞장섭니다 하단내용 참조
  • K-방역모델,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 극복에 앞장섭니다 하단내용 참조
  • K-방역모델,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 극복에 앞장섭니다 하단내용 참조
  • K-방역모델,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 극복에 앞장섭니다 하단내용 참조

우리나라의 성공적인 코로나19 대응이 전 세계의 모범사례로 평가됨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 우리의 경험에 대한 공유 요청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감염병 대응 전과정에서 활용된 검사진단기법 등 3T (Test-Trace-Treat)를 ‘K-방역모델’로 체계화하여 현재 18종 분야에 대한 국제표준화가 추진 중입니다.

K-방역모델 3T - 국제 표준화 분야 (18종)
· Test 6종 (검사·확진)
- 자동차 이동형(Drive Thru) 선별진료소 운영절차
- 도보 이동형(Walk Thru) 선별진료소 운영 절차 등

· Trace 4종 (역학·추적)
- 모바일 자가진단 및 격리관리 앱(App) 요구사항
- 역학조사지원시스템 기능 및 개인정보 보호
- 자가진단·문진 결과와 전자의무기록(EMB) 연동 방법 등

· Treat 8종 (격리·치료)
- 감염병 생활치료센터 운영 표준모형
- 개인위생 관리 및 사회적 거리두기 운영 지침
- 취약계층 필수 사회복지서비스 및 의료지원
- 감염병 교차감염 차단을 위한 지침 등

개도국 등 감염병 대응지침이 미흡한 국가는 대유행 시 적절한 대처가 어려운 상황으로, 국제표준 제정 시 전 세계가 방역 지침으로 활용 가능하여 ‘K-방역모델’의 국제표준화가 전 세계 감염병 대유행(pandemic) 극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를 위한 노력으로 민·관 전문가로 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 중이며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 정책방향 결정, 분야별 표준화 세부 방안 마련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15일, 「K-방역모델 국제 웨비나(웹 세미나)」에서는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 전략을 세계 무대에 제시하고 주요 국제기구와 협력기반을 구축하여 국제표준화 추진에 필요한 글로벌 지지 기반을 다졌습니다.
*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병원연맹(IHF), 미국 국가표준원(ANSI)

이날 ISO 회장, HF 사무총장, ANSI 회장은 팬데믹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 활동의 중요성에 동의하고 코로나19 종식과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위한 국제표준 개발에 협력하기로 하였고, 이러한 상호협력기반 구축으로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를 가속화할 동력을 확보했습니다.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 추진은 인류의 건강을 확보하고 전 세계에 창궐하고 있는 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침서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