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이 다가왔어요. 장거리 운전 중 가장 힘든 싸움은 졸음이죠? 특히 졸음을 불러일으켜 운전자에게 독이 되는 약을 조심하셔야 해요. 어떠한 약이 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멀미약
- Scopolomine: 부교감신경억제제
- dimenhydrinate chlor-pheniramine meclizine : 항히스타민제
“졸음 유발 및 방향·평형 감각 저하 등 부작용이 있어 운전자는 복용하면 안돼요!”
- 먹는 멀미약은 승차 30분 전 복용, 패치형 멀미약은 승차 4시간 전 부착
- 패치형은 약물이 묻은 부위를 만지지 않고, 부착 후 비누로 깨끗이 손 씻기
- 멀미약 사용 후 불안, 환각, 눈 통증이 있는 경우 의사/약사와 상의
항히스타민제
비염약, antihistamines, 감기약, 알레르기약
“졸음, 집중력 저하, 진정작용 등 중추신경계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요!”
- 중추신경계 부작용은 여성, 고령자, 작은 체구의 경우에 더 흔하므로 주의
- 커피, 초콜릿, 에너지음료 등 카페인 함량이 높은 음식과 섭취시 가슴 두근거림, 불면증 등 부작용
- 과다 복용시 중추신경계 억제 및 녹내장, 전립선 비대 등 부작용 증가
휴가철 졸음운전 이렇게 여방해요
- 충분히 환기하기 : 졸음을 유발하는 차량 내 이산화탄소 줄이기
- 껌이나 사탕 먹기 : 얼굴 근육을 움직이며 뇌에 산소를 공급해 졸음 깨기
- 스트레칭 하기 : 장시간 운전 시 쌓이는 목, 어깨, 허리 피로를 풀어 졸음 깨기
- 부족한 수면 취하기 : 1~2시간 간격으로 휴게소, 졸음쉼터 등 이용해 쉬었다 가기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