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리호 자기소개서

안정적인 우주운송수단에 대한 연구의 결정체, 누리호는 어떻게 구성이 되어 있을까요?

탑재중량 1500kg, 총 중량 200톤, 총 길이 47.2m, 최대 직경 3.5m

설계부터 제작, 조립까지 발사대 건립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국산화하였다.

[1단] 엔진, 탱크
![[1단] 엔진, 탱크](https://www.korea.kr/newsWeb/resources/attaches/2021.10/18/eda32c1ccc1651f6b63ab5d753c4b7d0.jpg)
[2단] 75톤급 액체엔진 시험, 연소불안정
![[2단] 75톤급 액체엔진 시험, 연소불안정](https://www.korea.kr/newsWeb/resources/attaches/2021.10/18/149865a969cfeaddfa9d40774b667e55.jpg)
[3단] 7톤급 액체엔진 시험, 추진제
![[3단] 7톤급 액체엔진 시험, 추진제](https://www.korea.kr/newsWeb/resources/attaches/2021.10/18/cf4347059adc65158e19201ca0c7eb72.jpg)
누리호의 첫 비행, 10월 21일 오후, 함께 응원해 주세요!

우주강국으로 향한 12년간의 도전!
안정적인 우주운송수단에 대한 연구의 결정체, 누리호는 어떻게 구성이 되어 있을까요?
누리호는 1.5톤급 실용위성을 600~800km의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우주발사체 기술 확보를 위한 한국형 발사체입니다.
탑재중량 1500kg
중형 자동차 1대, 탑재 가능
총 중량 200톤
65kg 성인 약 3077명 무게
총 길이 47.2m
아파트 16층 높이
최대 직경 3.5m
1단 21.6m
75톤급 액체엔진 4기 묶음 + 연료·산화제 탱크 등
1/2단 인터스테이지
2단 13.6m
75톤급 액체엔진 1기 + 연료·산화제 탱크 등
2/3단 인터스테이지
3단 7.0m
7톤급 액체엔진 1기 + 위성모사체 + 연료·산화제 탱크 등
한국형발사체 발사대_제2발사대
설계부터 제작, 조립까지 발사대 건립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국산화하였다.
3단형 누리호 발사체 발사운용을 목적으로 한다.
[1단]
- 엔진
누리호가 우주로 향할 수 있도록 강한 추진력을 제공한다.
우리나라는 75톤·7톤급 액체엔진을 독자 개발하였다.
_세계 7번째 중대형 액체로켓엔진 보유국
- 탱크
극저온의 산화제와 상온의 연료를 저장하며, 누리호 탱크는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발사체 무게를 경량화하였다.
한국형발사체 1단 종합연소시험(2021/3/25)
[2단]
- 75톤급 액체엔진 시험
• 모두 33기, 총 184회
• 누적연소시간 18,290초 수행
* 75톤급 엔진은 성능개량·클러스팅을 통해 대형·소형 발사체 개발에 지속 활용 예정
- 연소불안정
연소실의 유동과 압력이 요동치며 연소 과정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난제로, 우리 연구진은 설계를 12번이나 바꾸며 10개월 만에 위기를 극복해냈다.
[3단]
- 7톤급 액체엔진 시험
• 모두 12기, 총 93회
• 누적연소시간 16,925.7초 수행
- 추진제
연료는 케로신으로, 가솔린보다 휘발성이 낮고 끓는점은 높아 상온 저장이 된다.
산화제는 액체산소로, 공기가 없는 우주까지 연료를 태울 산소를 공급한다.
설계, 제작, 시험, 발사 운용 등
모든 과정을 우리의 기술로 진행하는
누리호의 첫 비행, 10월 21일 오후, 함께 응원해 주세요!
최종 발사 시각은 기상상황 및 우주환경, 우주물체 충돌 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사 당일 확정합니다.
우주강국으로 향한 12년간의 도전!
안정적인 우주운송수단에 대한 연구의 결정체, 누리호는 어떻게 구성이 되어 있을까요?
누리호는 1.5톤급 실용위성을 600~800km의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우주발사체 기술 확보를 위한 한국형 발사체입니다.
탑재중량 1500kg
중형 자동차 1대, 탑재 가능
총 중량 200톤
65kg 성인 약 3077명 무게
총 길이 47.2m
아파트 16층 높이
최대 직경 3.5m
1단 21.6m
75톤급 액체엔진 4기 묶음 + 연료·산화제 탱크 등
1/2단 인터스테이지
2단 13.6m
75톤급 액체엔진 1기 + 연료·산화제 탱크 등
2/3단 인터스테이지
3단 7.0m
7톤급 액체엔진 1기 + 위성모사체 + 연료·산화제 탱크 등
한국형발사체 발사대_제2발사대
설계부터 제작, 조립까지 발사대 건립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국산화하였다.
3단형 누리호 발사체 발사운용을 목적으로 한다.
[1단]
- 엔진
누리호가 우주로 향할 수 있도록 강한 추진력을 제공한다.
우리나라는 75톤·7톤급 액체엔진을 독자 개발하였다.
_세계 7번째 중대형 액체로켓엔진 보유국
- 탱크
극저온의 산화제와 상온의 연료를 저장하며, 누리호 탱크는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발사체 무게를 경량화하였다.
한국형발사체 1단 종합연소시험(2021/3/25)
[2단]
- 75톤급 액체엔진 시험
• 모두 33기, 총 184회
• 누적연소시간 18,290초 수행
* 75톤급 엔진은 성능개량·클러스팅을 통해 대형·소형 발사체 개발에 지속 활용 예정
- 연소불안정
연소실의 유동과 압력이 요동치며 연소 과정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난제로, 우리 연구진은 설계를 12번이나 바꾸며 10개월 만에 위기를 극복해냈다.
[3단]
- 7톤급 액체엔진 시험
• 모두 12기, 총 93회
• 누적연소시간 16,925.7초 수행
- 추진제
연료는 케로신으로, 가솔린보다 휘발성이 낮고 끓는점은 높아 상온 저장이 된다.
산화제는 액체산소로, 공기가 없는 우주까지 연료를 태울 산소를 공급한다.
설계, 제작, 시험, 발사 운용 등
모든 과정을 우리의 기술로 진행하는
누리호의 첫 비행, 10월 21일 오후, 함께 응원해 주세요!
최종 발사 시각은 기상상황 및 우주환경, 우주물체 충돌 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사 당일 확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