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한 눈에 보는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주요 내용

2022.06.16 기획재정부
인쇄 목록

한 눈에 보는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주요 내용

  •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 선순환’ 하단내용 참조
  •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 선순환’ 하단내용 참조
  •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 선순환’ 하단내용 참조
  •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 선순환’ 하단내용 참조
  •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 선순환’ 하단내용 참조
  •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 선순환’ 하단내용 참조
  •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 선순환’ 하단내용 참조
  •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 선순환’ 하단내용 참조
  •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 선순환’ 하단내용 참조
  •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 선순환’ 하단내용 참조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의 선순환을 위한 새정부의 경제정책방향을 알려드립니다.

1. “민간·기업·시장 중심 경제 운용으로 경제활력 제고·저성장 극복 기틀을 마련하겠습니다.”

[민간 중심 역동 경제]

① 규제혁파·기업활력 제고
⑴ 강력하고 체계적인 규제 혁신 거버넌스 마련
⑵ 과도한 규제 신설 방지 및 혁신적 규제완화 방안 도입
- 규제비용 감축제, 규제 일몰제, 규제 권한 지방이양, 규제 원샷 해결
⑶ 관행적으로 운영되어온 규제·제도 재정비

② 기업 투자 확대·일자리 창출
⑴ 기업의 법인세·배당소득과세 등 세 부담 완화
- 법인세 : 과표구간 단순화, 최고세율 22%로 인하
- 배당소득과세 : 국내외 유보 소득 배당 조세체계 개선
⑵ 세대 간 기술·자본 이전 촉진을 위해 가업승계 활성화
- 매출액 기준 2배 이상 대폭 확대 (0.4조 원 → 1조 원)
- 사후관리 기간 축소(7년 → 5년) 및 요건 완화
⑶ 기업 투자 및 일자리 창출에 대한 세제·금융 인센티브 보강

③ 중소·벤처기업 육성
⑴ 중소기업의 자생적 성장 및 혁신 기반 조성
- 신산업 진출 지원 : 스마트 공장 지속 확산, 동일 업종 내 신사업 전환 인정
⑵ 민간 주도·혁신 지향의 역동적 벤처 생태계 조성
- 혁신창업, 스케일 업, 재기지원

④ 공정한 시장 질서 확립
⑴ 불공정행위 엄단 및 경쟁제한적 규제 철폐
- 기술탈취 행위 : 손해배상 강화 및 전속고발제도 운용
⑵ 플랫폼 경제, 하도급 공정거래 시스템 구축
- 납품단가 연동제 : 정당하게 제값 받는 여건 조성
- 플랫폼 경제 : 플랫폼·소상공인·소비자 상생

2. “5대 부문 구조개혁으로 한국경제 성장경로 업그레이드하겠습니다.”

[체질 개선 도약 경제]

① 공공·연금 개혁 (비대해진 공공부문 효율화 및 지속 가능성 제고)
⑴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재정혁신
⑵ 양질의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고강도 공공기관 혁신
⑶ 적정 노후소득 보장·연금 지속 가능성을 위한 연금 개혁

② 노동시장 개혁 (획일적 노동규제·고 나 행을 노사 자율·선택 방식으로 전환)
⑴ 노동시장 환경 변화에 맞게 근로시간 제도 합리적 개편
⑵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 확산

③ 교육 개혁 (현장 수요 맞춤 미래 혁신인재 양성)
⑴ 첨단산업 인력양성을 위한 대학교육 혁신 및 자율성 강화
⑵ 현장 수요에 맞는 지역·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 체계 구축

④ 금융 혁신 (금융산업을 민간 중심 성장의 핵심 축으로 발전)
⑴ 디지털 금융혁신 촉진 및 민간의 역동적 혁신 지원 강화
⑵ 자본시장 활성화 및 외환 시장 선진화

⑤ 서비스산업 혁신 (서비스 생산성을 주요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
⑴ 新 서비스 창출을 위해 규제 합리화 및 육성 기반 마련
⑵ 「제조업-서비스업」 간 지원 차별 해소

3. “미래 구조 전환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을 하겠습니다.”

[미래 대비 선도 경제]

① 과학 기술·R&D 혁신
⑴ 신기술 확보·신산업 개발 중점의 과학기술·R&D 정책 수립
- 제5차 과학기술 기본계획 수립
- R&D 평가 시스템 마련·실시
- R&D 예타 사업 규모 1,000억 원으로 확대
- 국제협력 R&D 프로젝트 추진
⑵ 기술사업화, 국제표준화 등을 통해 신기술 기반의 혁신 지원

② 첨단 전략산업 육성
⑴ 신산업 육성전략 마련 및 반도체 등 첨단산업 초격차 확보 지원
⑵ 인공지능 및 유망 신산업 전략적 육성 및 원전 경쟁력 강화 지원
- 유망 신산업 육성, 원전 경쟁력 강화

③ 인구구조 변화 대응
⑴ 범정부 민관합동 인구 대응 체계 마련
- 경제활동 인구 확충, 축소 사회 대비, 고령사회 대비, 저출산 대응
⑵ 경제활동인구 확충, 축소·고령사회 대비 및 저출산 대응 강화
- 경제활동 인구 확충 : 경력단절 여성 복귀 지원, 고령자 계속 고용 논의, 외국 인력 도입제도 개선
- 저출산 대응 : 부모 급여, 첫 만남 이용권, 3+3 부모 육아휴직제 도입, 육아휴직·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

④ 탄소 중립·기후 위기 대응
⑴ 온실가스 감축경로·이행수단 재검토 : 배출권 총량, 할당 방식 등
⑵ 기업 탄소중립 투자 및 저탄소 소비 활성화 인센티브 마련
⑶ 순환 경제· ESG 생태계 조성 지원 강화
- 폐 플라스틱, 폐 배터리 재활용 등 순환 경제
- 민간 중심 ESG 생태계 조성

4. “취약계층 중심 생산적 맞춤 복지 구현을 통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겠습니다.”

[함께 가는 행복 경제]

① 사회 안전망 강화
⑴ 취약계층 등에 대한 두터운 지원을 통해 사회안전망 보강
⑵ 사회적 약자에 대한 맞춤형 지원 확충
- 노인 : 기초연금 및 맞춤형 일자리 제공
- 장애인 : 수요자 맞춤형 통합 지원 강화
- 한 부모 : 양육비 지원기준 단계적 상향 (중위 52 → 63% 이하)
⑶ 서민 주거비 경감, 주거 취약계층 지원 등 주거복지 지원 강화

② 근로 유인 및 기회 확대
⑴ 저소득 근로자·구직자 근로 인센티브 확대
⑵ 구직자·기업별 특성 고려 맞춤형 고용서비스 제공 확대
⑶ 청년 일자리·주거·교육·자산 형성 등 지원 확대
- 청년 도약 프로젝트
- 청년 맞춤형 주거 지원
- 장기 자산 형성 지원 상품 신설

③ 복지 시스템 고도화
⑴ 맞춤형 사회 서비스 제공 및 복지 사각지대 해소
⑵ 민간 주도 사회서비스 혁신을 통해 고품질 서비스 제공
⑶ 고용·교육·간호 간병 등 서비스 분야별 전달 체계 개선

④ 지역 균형 발전
⑴ 권역별 경제권 형성, 강소도시 육성 등 지방 경쟁력 강화
⑵ 세제·재정 지원을 통해 자생적 균형 발전 도모
- 지방이전 세제지원
- 균특회계 역할 강화
⑶ 지방 소멸 위기 지역에 대한 체계적 지원 강화

5. “민생안정과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여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을 뒷받침하겠습니다.”

[당면 현안 대응]

① 민생안정
⑴ 물가 안정 및 서민경제 부담 완화
- 생활 밀접품목 생계비 부담 경감
- 소상공인, 자영업자 경영부담 완화
- 수급 불안 품목 선제적 대응
⑵ 주거 안정
- 주택 공급 확대, 세제개편

② 위기대응
⑴ 경제안보 대응
- 상시 위기경보 시스템 구축
- 해외 자원 확보 및 유턴·외투 기업 지원
⑵ 위기관리 강화
- 위기 대응 체계 마련
- 거시경제 시장 영향 최소화
- 가계·자영업자 부채 연착륙 및 재기지원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