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허청 2022년 하반기 규제혁신 대표사례

특허청 2022년 하반기 규제혁신 대표사례

특허청 2022년 하반기 규제혁신 대표사례

특허청 2022년 하반기 규제혁신 대표사례

특허청 2022년 하반기 규제혁신 대표사례

특허청 2022년 하반기 규제혁신 대표사례

특허청 2022년 하반기 규제혁신 대표사례를 소개합니다.
1. 반도체 특허 우선심사 지원
* 2022년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수상 사례
· 기존
- 우선심사 대상을 특허법 시행령에 열거하여, 긴급 필요에 따른 심사 대상 조정이 어려움(시행령 개정에 4~5개월의 기간 소요)
· 개선
- ‘국가재난상황대응’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첨단 기술’ 관련 특허출원 시, 특허청장 공고만으로 우선심사가 가능하도록 법제 유연화(’22.11.)
2. 가상상품 심사지침 수립
· 기존
- 가상상품 산업 활성화로 관련 상표출원이 증가하고 있지만, 가상상품에 대한 상표심사 기준이 부재
· 개선
- 가상 의류, 가상 신발 등 ‘가상’ + ‘현실상품’의 형태로 가상상품의 상표출원이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가상상품-현실상품 간 유사 판단 기준 등 수립(’22.7.)
3. 특허 수수료 반환 청구 기간 연장
· 기존
- 반환 청구 기간이 경과하여 납부자에게 반환되지 못하는 미반환 특허 수수료가 연간 약 2억 원 발생
· 개선
- 특허법, 상표법, 디자인보호법 개정을 통해 과오납 특허 수수료 등의 반환 청구 기간(소멸시효)을 현행 3년에서 5년으로 연장(’22.10.)
4. 직무발명 관련 통지 방법 확대
· 기존
- 발명진흥법상 직무발명 신고 및 승계 방법을 ‘문서’로만 규정하여, 전자 문서 통지에 대한 불확실성 존재
· 개선
- 직무발명 관련 통지를 ‘전자 문서를 포함한 서면’으로 할 수 있도록 발명진흥법 개정(’22.11.)
국민과 기업의 창의 발현을 위한 특허청의 규제혁신은 계속됩니다!
특허청 2022년 하반기 규제혁신 대표사례를 소개합니다.
1. 반도체 특허 우선심사 지원
* 2022년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수상 사례
· 기존
- 우선심사 대상을 특허법 시행령에 열거하여, 긴급 필요에 따른 심사 대상 조정이 어려움(시행령 개정에 4~5개월의 기간 소요)
· 개선
- ‘국가재난상황대응’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첨단 기술’ 관련 특허출원 시, 특허청장 공고만으로 우선심사가 가능하도록 법제 유연화(’22.11.)
2. 가상상품 심사지침 수립
· 기존
- 가상상품 산업 활성화로 관련 상표출원이 증가하고 있지만, 가상상품에 대한 상표심사 기준이 부재
· 개선
- 가상 의류, 가상 신발 등 ‘가상’ + ‘현실상품’의 형태로 가상상품의 상표출원이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가상상품-현실상품 간 유사 판단 기준 등 수립(’22.7.)
3. 특허 수수료 반환 청구 기간 연장
· 기존
- 반환 청구 기간이 경과하여 납부자에게 반환되지 못하는 미반환 특허 수수료가 연간 약 2억 원 발생
· 개선
- 특허법, 상표법, 디자인보호법 개정을 통해 과오납 특허 수수료 등의 반환 청구 기간(소멸시효)을 현행 3년에서 5년으로 연장(’22.10.)
4. 직무발명 관련 통지 방법 확대
· 기존
- 발명진흥법상 직무발명 신고 및 승계 방법을 ‘문서’로만 규정하여, 전자 문서 통지에 대한 불확실성 존재
· 개선
- 직무발명 관련 통지를 ‘전자 문서를 포함한 서면’으로 할 수 있도록 발명진흥법 개정(’22.11.)
국민과 기업의 창의 발현을 위한 특허청의 규제혁신은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