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부유형 | 사업내용 |
---|---|
(1유형) 지역정착지원형 | 지역기업에 청년 취업 지원을 통한 지역정착 유도 |
(2유형) 창업투자생태계조성형 | 창업공간 지원 등 취·창업생태계 조성을 통한 고용창출 |
(3유형) 민간취업연계형 | 지역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일경험을 통한 민간 취·창업 연계 |
(4유형) 지역포스트코로나대응형 ※ ’21년 신설(7천명) | 비대면·디지털 영역에서 일 경험+전문교육을 통한 청년들의 역량 향상 |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청년이 지역의 일원으로 살아가며 정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지역별 상황에 맞게 맞춤형 일자리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문화·복지·안전 등 지역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청년이 관심을 갖는 일에 대한 경험과 직무역량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경험이 쌓이면 취업과 창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지방자체단체가 지역의 상황에 직접 설계·기획하고 행정안전부가 운영을 지원한다. 2018년 7월부터 취·창업을 희망하는 총 11만 명 이상의 청년을 지원하고 있다.
추진배경
- 지역 청년의 대도시 이주로 지역 기업은 구인난 호소, 중앙부처의 하향식·일률적 사업 방식으로는 지역별로 다른 고용여건 대응에 한계 - 지자체 중심의 지역여건에 맞는 일자리사업을 통해 청년고용 창출, 취·창업이 지역정착으로 이어지도록 정책 보완(주거, 복지 등)
추진경과
- 지자체 우수 일자리사업 발굴·유형화, 국가시책사업화 준비 (’17~)- 「청년 일자리 대책」보고 시,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창출방안」 발표 (’18.3.15.)- 2018년 추경(5.21.)을 통해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추진 (’18.7월~)- 2018~2021. 현재까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추진중
현황
- 사업기간 : 2018.7.~ * 2018년 추경 신규사업 - 사업규모 : 2018년 1만 명 → 2019년 2.6만 명 → 2020년 2.6만 명 → 2021년 2.9만 명 - 예산규모 : 2018년 831억 원 → 2019년 2,210억 원 → 2020년 2,350억 원 → 2021년 2,450억 원 - 추진절차
청년일자리 기본유형* 제시 → 지자체 사업설계 → 공모·심사, 국비지원 → 지자체 사업시행 → 사후관리 * 유형별로 인건비, 교육, 주거·복지(지방비) 지원 및 유형별 최소기준 제시
지원내용
지역 청년이 일 경험을 통해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하고, 자격증 취득·직무교육 등 역량개발을 지원해 사업종료 후에도 경쟁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지자체에 따라서 참여 청년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 교통, 자기개발, 복지혜택 등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대상
- 전국의 만 39세 이하 청년 미취업자(실업자+비경제활동인구)- 사업 참여기간 동안 해당 지자체의 주민등록 유지 필요
지원유형
2) 창업투자생태계조성형① 사업개요 : 창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는 창업공간을,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는 지역에 머무르며 일할 수 있는 환경 마련② 근무지 : 창업희망 청년은 공동창업공간 입주 기회 제공, 취업희망 청년은 지역의 중소기업에서 근무③ 지원기간 : 2년④ 지원내용-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의 경우, 임대료 등의 창업관련 비용 지원- 창업공간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공동창업공간 입주 지원 -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의 경우, 지역내 취업을 위한 다양한 비용 지원 - 창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이나 컨설팅 혹은 직무교육 지원
주요 추진성과
지자체 주요사례
[누리집] 행정안전부 > 업무안내 >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카드뉴스] 내일을 향해 날자, 내 일을 향해 날자!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2019.04.02. /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청년의 지역정착에 기여 (2019.08.20. / 행정안전부)
[영상자료]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지역애(愛) 청년내일" Q&A (2018.09.04. / 행정안전부)
[카드뉴스] 2019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참여수기 (2019.09.05. / 행정안전부)
[영상자료] 2020년에도 청년의 꿈을 응원합니다! (2019.09.11. / 행정안전부)
[청년일자리, 지역에서 답을 찾다] ①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이란 (2019.02.01. / 정책브리핑)
[청년일자리, 지역에서 답을 찾다] ② 제주특별자치도 (2019.06.21. / 정책브리핑)
[청년일자리, 지역에서 답을 찾다] ③ 전남 순천시 ‘더 드림(The Dream) 프로젝트’ (2019.06.24. / 정책브리핑)
[보도자료] 행안부, 내년도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2만6천개 창출 (2019.12.18. / 행정안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