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26일자 아주경제 <미래부 창조경제사업, 예산 중복 편성·전시 행정 예산 낭비 심각”> 제하 기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해명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업무가 중기청 창업보육센터, 산자부 테크노파크와의 중복 여부
미래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지원, 중소기업 혁신, 특화사업 육성, 고용지원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지역 거점으로 보육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아이디어 사업화의 전(全) 단계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중기청의 ‘창업보육센터’는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대학 등의 공간을 활용하여 사업추진에 필요한 입주공간 제공, 경영 기술 분야에 대한 지원이 주기능이며 산업부의 ‘테크노파크’ 역시 기존 산업의 경쟁력 유지 및 강화, 강소기술 기업 육성 중심의 지원기관으로, 주로 주로 도시 외곽 및 부심에 위치한 기존 산업단지와 연계를 통해 지역 기존 중소기업의 성장 및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고 반박했다.
창조경제예산 중 279억원 전시 행정성 여부
미래부는 “기사에서 예시하고 있는 예산들은 실질적인 창조경제 성과 창출을 위해 편성된 사업비로서, 전시 행정성 예산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혁신센터장의 연봉 관련
미래부는 “우리부 산하 출연(연) 기관장이 평균 1억 6000만만원 수준인 반면, 혁신센터장은 평균 1억1500만원”이라고 말했다
대기업과 창업기업 간 수직적 하청 관계 생성 우려 관련
미래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보육기업의 사업화 벨류체인에 전담 대기업의 지원역량이 연계되어 상호 윈-윈하는 상생 모델로서 대기업은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경험과 노하우·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창업·중소기업에 상품개발, 판로확보, 해외시장 진출 등을 지원하고 대기업은 혁신센터를 Open Innovation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창업·중소기업과의 협력으로 새로운 사업분야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기술개발, 매출향상 등의 기회로도 활용할 수 있다”며 “대기업의 불법·불공정 거래로 인한 혁신센터 보육기업의 피해사례는 없으며, 혁신센터를 통한 대기업의 지원은 받지만 대부분 독자적인 생존과 성장의 길을 밟고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충북센터 65개 보육기업 중 3개 기업이 LG 계열사에 납품계약을 맺었으며 모두 비독점 계약이며, 대구센터 94개 보육기업은 삼성과 납품 계약한 사례가 없다고 설명했다.
문의 : 미래부 창조경제기획과(02-2110-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