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는 26일자 IT조선 <‘설립 과정도 원장 선임도’…의혹 커지는 지능정보기술연구원 설립 >, 디지털데일리 <출범도 전에…의혹투성이 인공지능연구원(AIRI)> 제하 기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해명했다.
미래부는 먼저 연구원 출자와 관련, “우리나라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업간 협력이 필수적이라는데 공감한 기업이 연구원 설립을 위해 자발적으로 출자한 것으로 6개 기업(삼성전자, LG전자, SKT, KT, 네이버, 현대차)이 공동으로 투자할 것을 자발적으로 결정했다”며 “정부의 강요는 없었고 한화생명은 연구원 설립계획 발표 이후 미래부로 출자의사를 통보(4월초)했다”고 말했다.
연구원장 선임에 대해서도 “7개 출자기업이 평가위원으로 참석, 연구원 이사회에서 최종 확정한 것으로 연구원장 선임은 공모 절차를 통해 투명하게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연구과제 지원부문에 관해 “지능정보기술은 세계적으로 초기 단계이며 기술적 중요성이 매우 크므로 지능정보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며 “그 예로 SiRi(DARPA CALO 프로젝트), 자율주행차(DARPA Grand Challenge) 등도 정부 투자를 통해 나온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구원은 누구나 출자를 통해 참여 가능하며 출자사 이외에도 연구개발 결과물을 제공할 계획으로, 연구원에 대한 지원을 통한 국가 지능정보기술 역량 강화가 가능하다”며 “다만, 지능정보기술연구원에 대한 지원은 관련 규정상 적법한 절차에 따라 추진하고 매년 지원하는 150억원은 연구원을 포함한 산학연에 분산해서 투입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사는 “정부가 지능정보기술연구원 설립을 위한 출자를 강요했고 지능정보기술연구원 원장 선임 과정이 불투명했으며 미래부가 지능정보기술연구원에 5년간 750억원의 연구과제를 지원하기로 한 것은 특혜”라고 보도했다.
문의 : 미래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02-2110-1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