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위해우려제품 내 살생물질 전수조사 계획(2016년 5월 23일)에 따라 지난 6월부터 15개 위해우려제품에 대한 전수조사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참고로 전수조사는 제품 생산업체, 제품명, 성분제출 및 성분검증까지를 의미하며 올해 말까지 추진하기로 계획돼 있다.
또 그간 환경부는 폐업, 미생산업체 등을 제외한 3631개 업체를 전수조사 대상으로 확정하고 동 업체로부터 제품 내 살생물질 자료를 제출받아 자료의 검증을 진행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병행해 자료를 미제출한 업체 1117개에 대해서는 자료제출을 촉구한 상태에 있으며 이달말까지 미제출한 업체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전수조사를 계획에 따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위해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스프레이형 방향제, 탈취제 등에 대한 위해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올 하반기에 공개하기로 한 계획에 따라 지난 6월부터 스프레이형 제품에 대한 위해성평가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스프레이형 방향제, 탈취제 등의 위해우려제품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당초 일정에 따라 연말까지 차질없이 공개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외 위해우려제품에 대해서는 ‘생활화학제품 민관합동 검증위원회(위원장 : 환경보건학회 학회장,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장)’의 의견을 수렴, 위해성평가가 필요한 제품을 연말까지 추가적으로 선정, 내년까지 완료하는 당초 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3일 국민일보가 보도한 <생활화학제품 전수조사, 아직도 자료수집 중> 제하 기사에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국민일보는 이날 조사 첫 번째 단계인 자료 수집도 못 끝내다며 위해성평가가 끝나는 시점이 언제인지 알 수 없다고 보도했다.
문의: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실 화학제품TF 044-201-6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