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대기업 갹출 혁신센터 운영 사실 아니다

2016.11.21 미래창조과학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미래창조과학부는 18일자 전자신문 <작은 성과도 부풀려야…인위적 창업생태계의 한계>, KBS <창조경제센터 ‘허울뿐’…관리도 부실> 제하 보도와 관련, “대기업으로부터 갹출한 자금으로 혁신센터를 운영한다는 내용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미래부는 “혁신센터 운영예산은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국비 6 : 지방비 4)하고 있고, 전담기업은 센터 출범 당시 공간 구축비용 등을 일부 지원했다”며 “전담기업은 혁신센터 운영예산을 직접 지원하기보다는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경험과 노하우, 유통망 등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창업·중소기업의 상품개발, 판로 확보, 해외시장 진출 등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은 미래부가 컨트롤타워이며 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구들도 미래부 소속으로 운영 중”이라며 “‘창조경제 민관협의회’는 창조경제 정책 전반에 관한 민간과 정부의 협력창구로서, 경제 부총리가 주재하는 협의체이고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위원회’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운영과 관련해 정부·지방자치단체·민간 간 협력을 위해 미래부 장관이 주재하는 회의체”라고 설명했다.

또한 미래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지원에 주력하는 한편, 지역의 혁신기업 지원과 관련해 설립 목적과 취지에 맞는 업체를 지원하고 있다”며 “다만 혁신센터를 방문해 상담·지원 등을 요청하는 경우, 가급적 제한을 두지 않고 직접 또는 관련기관을 연결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의 여건과 전담기업의 강점을 고려해 선정한 특화산업 분야의 창업·중소기업을 중점 지원하고 있으며 광주센터의 경우 수소차 관련 창업지원뿐만 아니라 소상공인 및 서민 창업지원도 주요한 특화사업 분야로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방송된 기업은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융자펀드를 활용해 10억원의 융자지원을 받은 것이 사실이며 부산혁신센터에서는 대기업 외의 전국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유통 및 판로개척 등에 필요한 융자지원을 위해 전담기업인 롯데와 중소기업은행이 함께 조성한 ‘중소기업육성융자펀드’(롯데와 중소기업은행에서 각 300억원을 출연하여 총 600억원을 결성)를 활용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자신문과 KBS는 기사에서 “대기업으로부터 갹출한 자금으로 혁신센터를 운영하고, 대기업에 센터운영비를 기부금으로 처리하게 만들어 부담만 안기고 있고 창조경제가 위기에 처한 것은 ‘컨트롤 타워’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또한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는 수소차 관련 창업 지원이 주요 사업이나 지원업체에는 학원, 패스트푸드점, 미용실이 포함되어 있다(KBS)”,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한지 30년 된 서울의 중견기업에 2015년 9월 10억 원을 융자해준 것으로 기록·관리하고 있으나, 해당기업은 창조경제융자 지원을 받은 사실이 없다고 주장했다(KBS)”고 보도했다.

문의 : 미래부 창조경제기획과(02-2110-206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