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는 한국자유총연맹 중앙회장 선출과 관련해 자유경선으로 인한 선거과열, 조직의 분열, 상호 고소·고발로 인한 연맹의 이미지 실추 등 선거 후유증을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인 선출방식 마련은 자총 내부의 오랜 과제였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2015년 2월 25일 15대 중앙회장 보궐선거 이후 낙선자 등이 제기한 민원에 따라 실시한 특별검사 결과 사전선거, 불법동원 등 제반문제점이 발견돼 연맹에 향후 선거와 관련, 같은 해 4월 8일 조직분열방지 대책을 마련하도록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연맹은 4월 22일 연맹 발전을 위한 총체적 혁신방안을 자체적으로 수립해 제출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행자부는 동 발전방안에 자유총연맹은 회장 선출방식을 총회 자유경선에서 후보자 추천위원회 추천을 거쳐 총회 선출제로 변경하는 방안을 포함해서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후 자유총연맹은 중앙회장 선출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T/F 구성 및 이사회 상정 등을 통해 개선안 추진을 시도했으나 연맹내부의 사정으로 2015년 중에는 시행하지 못하고 2016년 7월 14일 총회를 거쳐 선거제도를 바꾼 것이라고 설명했다.
행자부는 13일 NEWSIS가 보도한 <“자유총연맹 회장, 추천제로 뽑아라”…‘靑 압력’ 있었다> 제하 기사에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기사는 이날 박근혜 정부 청와대가 2년전 국내 최대 보수우익단체인 한국자유총연맹 회장 선출방식을 투표제에서 추천제로 변경하기 위해 당시 허준영 회장을 압박했다는 정황이 나왔다고 보도했다.
문의: 행정자치부 사회통합지원과 02-2100-3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