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연합뉴스, 뉴스1 등에서 보도한 <지상파 UHD 본방송 개시> 관련 기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해명했다.
미래부는 “지상파 UHD 본방송 개시는 차세대 방송서비스로의 전환을 위한 출발점을 의미하며 방송서비스의 세대별 전환은 제작·송신·수신 환경이 성숙하기까지 방송 산업 생태계 및 시청행태 전반의 변화를 수반하는 장기간(2017~27년)의 작업”이라며 “과거 아날로그 방송에서 HD 방송으로의 전환에 있어서도 도입부터 완전한 전환에 이르기까지 10여년 이상 소요된 바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과거 HD 방송 도입 당시보다 한층 향상 된 우리 기술력과 방송 운영 노하우를 토대로 차세대 방송 서비스를 선도하기 위해 방송사·연구기관·제조업체 등과 협력해 지상파 UHD 방송 세계 최초 상용화를 이루게 됐다”며 “이러한 선제적 추진이 우리 방송 산업의 발전과 시청자 미디어 복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미래부는 “IP 기반의 양방향 미디어 소비가 보편화 되어 가는 환경에서 지상파 UHD 방송의 도입은 무료 보편 서비스인 지상파를 통해 새로운 기술 및 시청자 요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시청자들의 다양한 미디어 향유 권리를 충족시키고 방송 시장의 경쟁을 제고하는 효과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미래부는 “방송 권역, 수신환경, 콘텐츠 등 방송 도입 시점에서 부족한 부분은 현재 방송되는 HD 방송과 새로 시작하는 UHD 방송이 동시 송출되는 동안 방송사·가전사·연구기관 등과 협력해 안정화, 전국 확산, 부가 서비스 다양화, 정착 등의 단계를 거쳐 실질적으로 시청자 편익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본방송 개시에 맞추어 원활한 시청이 가능하도록 안테나 구매 등 지상파 UHD 방송 수신 가이드를 이용한 안내를 강화하고, 기존에 판매 된 유럽식 UHD TV를 보유한 가정에서 가전사를 통해 셋톱박스를 구매해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연합뉴스 등은 “지상파 UHD 수도권 본방송이 5월 31일부터 시작되었으나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가구 비율이 적고 국내 지상파 방송 표준이 적용된 UHDTV 보급이 늦어 실제 시청 인구는 거의 없다”고 보도했다.
문의 : 미래부 전파방송관리과(02-2110-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