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주요 대학의 원자력 관련 학과 전공자가 매해 줄어들고 있다는 보도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27일자 문화일보의 <카이스트 ‘원자력학과 전공선택 0명’ 쇼크>, 28일자 서울경제의 <취업길 막혀…탈원전, 우리에겐 사망선고> 제하 기사에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언론들은 원자력 전공 지원자가 급감한 카이스트 뿐 아니라 다른 대학도 상황은 비슷하다며 지난해 서울대·경희대·한양대·세종대·조선대·동국대·단국대 등 전국 7개 대학의 원자력 관련학과의 평균 경쟁률이 8.86대1로 전년대비 17.1% 낮아졌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기사에서 언급하고 있는 서울대·경희대·한양대·세종대·조선대·동국대·단국대 등 7개 주요 대학의 원자력 관련 학과 학부 신입생 수는 2016학년도 289명에서 2017학년도 300명으로 증가했고 2018학년도에도 300명으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대학원 신입생수의 경우에는 2016학년도 95명에서 2017학년도 109명으로 증가했으며 2018학년도에는 92명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에너지전환 정책이 추진된 이후인 2018학년도 7개 주요 대학 원자력 관련 학과의 입시경쟁률은 평균 7.7:1로 2017학년도의 경쟁률과 동일한 바, 경쟁률 측면에서도 변화는 없다고 덧붙였다.
기사에서는 주요 대학 원자력 관련 학과의 평균 경쟁률이 2017년에 2016년 대비 낮아졌다고 보도하고 있으나 2017학년도 입시는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 추진 이전에 시행된 것으로 에너지전환 정책과는 무관하다는 것이 산업부의 설명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지난 21일 발표한 ‘에너지전환(원전) 후속조치 및 보완대책’에서 밝힌 바와 같이 우수 신규인력의 유입 촉진 등 중장기 인력 수급 균형을 유지·지원하고 원전 안전운영과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핵심인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에너지전환(원전) 후속조치 및 보완대책 인력부문 주요 내용>
(신규인력 진출경로 다양화) 전국 16개 대학에 설치되어 있는 원자력 학과의 융합교육, 해외취업 지원 등
(유망분야 인력양성 지원) 원전해체, 안전 R&D 인력양성프로그램 등
(한수원 원자력전공자 채용비중 확대) 現 13% → 30%(향후 5년 평균)
(재직자 경력전환 및 해외진출 지원)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KINGS) 내 에너지정책학과 신설 및 원전수출국에 분교 설치 추진 등
(핵심인력 유지) R&D 지원, 기관별 대책수립(‘18.下) 등을 통해 핵심인력을 유지, 산업기술보호법에 따른 유출 방지노력도 병행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원전산업정책과 044-203-5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