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OECD에서 제공하는 각 국가별 공식 소득분배지표와 사회적 현물이전을 반영한 시험작성 결과에 대해 직접적 비교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통계청은 11월 3일 세계일보의 <소득분배 ‘지표’만 개선하려는 통계청>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습니다.
[보도 내용]
분배현실은 나빠지고 있는데 사회적현물이전 반영으로 분배지표만 개선되는 셈이라며,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명분을 찾기 위한 통계가 아니냐
[부처 설명]
OECD 등 국제기구는 국가나 민간 비영리단체 등이 국민의 복지를 위해 가구 또는 개인에게 제공하는 현물복지지출1)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통계의 필요성을 제기
OECD의 2016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호주, 네덜란드, 스웨덴 등 10개 국가2)에서 사회적 현물이전을 반영한 소득통계 작성
1) 공공교육, 보육, 건겅보험·의료급여, 공공임대주택 등
2) 호주, 네덜란드,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일본, 오스트리아, 프랑스, 노르웨이, 멕시코
이에 따라, 통계청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물복지지출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통계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 GDP의 현물복지지출 비중 : 2015년 5.3%→2050년 13.2%(2016년 사회보장실무위원회)
2016년 1월 기초연구를 시작으로 2년 10개월에 걸친 방법론 검토 및 시산작업을 통해 시험작성결과를 발표하게 되었음(11월 2일)
.jpg) |
사회적현물이전 통계개발 주요과정 : 2016년∼2018년 |
한편, 사회적 현물이전소득은 정책내용이나 가치평가가 국가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국제 소득통계 측정개념(OECD 등)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따라서 OECD에서 제공하는 각 국가별 공식 소득분배지표와 사회적 현물이전을 반영한 이번 시험작성결과에 대해 직접적 비교는 어려우며, 다만 비교시에는 소득의 포괄범위 등에 유의하여야 한다는 점을 말씀드림
문의: 통계청 사회통계국 복지통계과 042-481-2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