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가축 살처분 참여자, 심리 안정·정신적 회복 치료 지원

2019.02.13 농림축산식품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살처분은 가축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 상 불가피한 면이 있다”며 “현재 살처분은 동물 복지에 부합하게 인도적 방식으로 실시 중이며, 살처분 참여 인력의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회복을 위한 치료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2월 13일 한겨레 <살처분 노동자 “피 튀기고 산채로 기계에 갈리는 닭의 비명 끔찍”>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 AI,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의 살처분 정책으로 인해 살처분 현장에 일용직 외주 노동자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이들에 대한 안전 대책 및 심리지원 등 사후관리가 이루어지 않고 있음
 
○ AI SOP에 따라 발생시 24시간 이내, 반경 3km 이내 농장은 72시간 내 살처분을 마감해야 하므로 살처분 가축에 대한 안락사 규칙이 지켜지지 않고 있음

[농림축산식품부 입장]

□ 농식품부에서는 AI나 구제역 발생에 따른 살처분을 최소화하기 위해 오리 사육제한, 계열화사업자 방역책임 강화 등 예방 중심의 사전 방역대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다만, 가축전염병 발생농장과 인근 농장 가축은 바이러스 감염 우려가 있어 주변으로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고자 방역 상 불가피하게 살처분을 실시하고 있으며,
 
○ 바이러스 배출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살처분 조치는 신속히 완료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농식품부는 살처분 현장인력의 정신적 피해 최소화와 동물복지 차원에서 AI·구제역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CO2 가스, 약물 등을 활용한 인도적 살처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현재, 살처분 전 작업자 사전교육을 통해 인도적 방식의 살처분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고 있으며, SOP에 부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살처분이 진행되지 않도록 관리할 예정입니다.

□ 또한, 살처분 참여 인력의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회복을 위해 각 지자체별로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17개소)와 정신건강복지센터**(광역 17개소, 기초 227개소)를 지정·운영토록 하고 있습니다.
 * 상담사·전문의 등 인력풀 관리, 심리회복 상담, 케이스별 상담연계 등
 **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연계 및 사후관리, 고위험군에 대한 치료 등
 
○ 살처분 작업 전 지원 프로그램을 안내하도록 하고 있으며, 지정시설을 통한 상담, 심리·정신적 치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17년 이후 살처분 관련 지원현황 : 심리상담 2,484건, 정신치료 11건(’18.10월 기준)
 
○ 이와 더불어 관련법을 개정하여 7월부터는 치료지원 내용, 신청 절차 및 방법, 지정된 전담의료기관 등에 관한 사항을 살처분 참여인력에 의무적으로 알리도록 조치하였습니다.

□ 농식품부는 살처분 참여인력의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회복을 위해 지자체와 함께 전담의료기관 안내(치료 및 신청 절차, 지정 의료기관 위치 등)를 강화할 계획이며,
 
○ 관계부처와 함께 작업 전후 심리·신체적 증상 체크리스트 마련 등 실질적인 치료·지원방안을 마련해 심리·정신적 회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해나갈 예정입니다.
 
○ 또한, 인도적 살처분 실시 여부에 대한 지도·점검으로 동물복지에 부합한 살처분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입니다.

문의: 농림축산식품부 구제역방역과(044-201-253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