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기업 화학물질 영업비밀 보호 제도적 장치 이미 확보

2019.04.29 환경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환경부는 “화학물질관리법(이하 화관법) 개정안에 의해 기업들의 산업기밀이 유출된다는 점 등은 사실이 아니며 기업 화학물질 정보제출 제도는 2006년부터 시행 중으로 충분한 영업비밀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확보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4월 29일 조선일보 <반도체 노하우 통째 中에 넘기나, 황당한 自害 산안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국회에 제출된 화관법 개정안은 제조·수입하는 모든 화학물질의 성분·함량을 사용량과 관계없이 제출하도록 하였으며, 정보공개 청구 등을 통해 한국 기업들의 산업기밀이 유출될 위험이 큼

[환경부 설명]
 
현행 화관법에서도 기업의 화학물질에 관한 정보제출 의무를 규정하고 있음(2006년부터 시행)

현행 화관법 제9조에 따라 사업자는 화학물질을 제조·수입하기 전에 해당 화학물질이 규제대상에 해당하는지 스스로 확인하고, 유해화학물질의 경우 성분·함량 등에 관한 확인명세서를 작성·제출하여야 함

4.4일 국회에 제출된 화관법 개정안에도 화학물질의 제조·수입 시 명칭, 용도, 유해성 분류정보 등을 정부기관(환경청)에 제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제출된 정보를 외부에 공개하는 규정은 없음

영업비밀 등의 노출이 우려되는 경우 현행 화관법 제52조에 따라 자료보호 요청 시 검토를 거쳐 비공개 할 수 있음

※ 화관법 개정안(2019.4.4 국회제출) 내용 : 기존의 화학물질 확인제도와 유독물 수입신고를 화학물질 확인신고로 통합하고, 화학물질별로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수입·제조 단계서부터 사용단계까지 유통관리를 강화하고자 함

또한, 기업의 영업 비밀을 보호하기 위한 추가적인 제도적 장치를 규정

화학물질 양도 시에는 신고 시 부여된 화학물질 확인번호만 제공하기 때문에 영업비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개정안 제9조의2)

화학물질이 국외에서 제조되는 경우, 국외 제조자(해외 업체)가 직접 대리인을 선임하여 화학물질 확인신고 등을 대신하는 “대리인 선임 제도”를 신설하여, 제 3자(국내 수입자)에게 영업 비밀이 노출되지 않고도 신고 등의 절차가 가능하도록 하였음(개정안 제9조의3)

문의: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실 화학안전과 044-201-684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