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우리나라 방역, 체계적이고 선진화된 시스템 갖춰

2019.09.26 농림축산식품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우리나라 돼지 사육환경은 축사시설이 현대화되어 있고, 정부와 지자체 및 농가의 방역의지와 역량도 높다”며 “ASF 발생 전부터 국경 검역 및 국내 방역시스템 구축 노력은 물론 발생 후 살처분 범위 확대 적용 및 역학차량 이동통제와 일제 소독 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수의·방역분야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북한·동남아 등 방역상태가 열악한 나라와는 달리 방역이 체계화되었고 훈련이 많이 되어 있는 상태라 동일선상에서 비교가 어렵다는 의견”이라며 “일부 매체에서 계량 경제학 전공의 교수가 SNS에 올린 글을 그대로 인용, ‘돼지 절멸 확실’ 등 제하의 기사를 보도해 국민에게 지나치게 불안감을 조성하고 현장의 방역의지를 저해하지 않도록 협조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9월 24일~25일 서울신문 <서울대 교수 “한반도 돼지 절멸 거의 확실… 공격적 방어해야”>, 국민일보 <한반도 북쪽 몇 달 내 돼지 멸종… 남쪽 돼지도 절멸 확실>, 노컷뉴스 <“남한도 돼지 절멸”… 서울대 교수의 ASF 예측도>, 아시아경제 <“이대로 가면 돼지 전멸”… 다섯번째 ASF 확진에 삼겹살값 급등>등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문정훈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교수가 9.24일 개인 SNS에 “한반도 남쪽도 이제 지옥문이 활짝 열렸습니다. 오늘 또 한 곳 확진되었지요. (중략) 지금의 방역 방식으론 한반도 남쪽에서도 돼지는 절멸의 상태로 들어갈 것이 거의 확실해 보입니다. 최소한 차량 동선에 걸려 있는 돼지는 다 선제적으로 폐사시킨다는 정도의 공격적 방역을 하지 않으면 한반도의 돼지는 절멸 상태에 들어가게 될 것입니다.” 라는 글을 올렸고, 위 매체에서 그대로 인용하여 보도하고 있음

[농식품부 입장]

□ 동 보도는 계량경제학을 전공한 문정훈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교수의 개인 SNS 글을 인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ㅇ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과감한 대처가 필요하다는 의견에는 동감하나 이 과정에서 근거 없는 주장이 불필요하게 과장된 점이 있습니다.

□ 문 교수는 현재 북한이 방역에 실패했고 몇 달 내로 돼지가 거의 멸종 상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하고 있습니다.

ㅇ 북한이 OIE(세계동물보건기구)에 지난 5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을 보고한 이후, 북한 상황에 대해 정확히 파악할 수 없지만

ㅇ 빠른 확산으로 우리나라 역시 비슷한 상황을 초래할 것으로 결론짓는 것은 우리의 사육환경과 방역시스템 감안 시 근거 없는 주장입니다.

□ 우리나라 돼지 사육환경은 기본적으로 축사시설이 현대화되어 있고 거의 방목 없이 축사 내에서 사육하고 있으며, 정부나 지자체, 농가의 방역의지와 역량도 높습니다.

ㅇ 또한, 남은 음식물을 급여하는 농가는 별도로 특별 관리하고 있으며, 야생멧돼지와 사육돼지 간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  울타리 설치나 야생멧돼지 개체 수 감소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ㅇ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전부터 유입 차단을 위해 국경 검역 및 국내 방역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했고, 발생 후에는 확산을 신속히 차단하기 위해 SOP에 규정한 살처분 범위를 반경500m에서 3km로 확대해 적용하고, GPS를 통해 확인한 역학차량과 농가의 이동통제와 중점관리지역 지정 및 농가 초소 설치, 일제 소독 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실제 수의·방역분야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중국이나 동남아 같은 경우나 북한은 특히 방역상태가 열악한 나라이고,

ㅇ 우리나라는 구제역과 AI를 많이 겪으면서 방역이 체계화되었고, 훈련이 많이 되어 있는 상태라 동일선상에서 비교가 어렵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ㅇ 인용보도의 경우에도 이 같은 가축방역에 대한 풍부한 경험이나 전문지식 등을 보유한 전문가 의견 등도 균형 있게 제시하는 것이 적합할 것입니다.

□ 향후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및 방역상황 등에 대한 보도와 의견 제시에 있어 사회적 불안을 야기하지 않도록 노력해주시고 현장의 축산농가, 관련업계 등의 바이러스 확산 차단 노력과 의지를 꺾지 않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농식품부는 그 간의 방역 조치가 충분치 못했다고 인식하고 다시 한 번 경각심을 갖고 지자체, 농가, 농협과 조합, 주민 등과 총력 대응하여 방역조치를 강화하고 단호하고 신속한 선제적 대응조치를 취해 아프리카돼지열병을 조기에 종식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정책과(044-201-2515), 구제역방역과(044-201-2537)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