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월 12일 오늘의 바로잡는 언론보도

2020.02.13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2020년 2월 12일, 언론보도에 대한 해당 부처의 입장과 설명입니다.

☞[국토부] 부실시공과 품질·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벌점제도를 점검 현장수로 나누는 현행 누계평균방식에서 누계합산방식으로 변경해 실효성을 강화하고, 측정기준을 명확히 하도록 개선하는 등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 입법예고 중
이번 개정안은 건설관련 협회 등 업체의 충분한 의견을 들어 종합적으로 검토해 개정하겠음
앞으로도 벌점제도 개정 등 건설공사 부실 방지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노력할 계획 -서울경제 <‘벌점’ 무기 쥔 정부, 건설사 압박·분양 규제 나서나>

☞[환경부] 지난 1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위기경보 ‘경계’단계 발령에 따라, 국내·외 출입이 빈번한 곳에 위치한 식품접객업종은 자원재활용법 및 관련 고시에 따라 지자체장이 판단해 일회용품을 한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알린 바 있음
일회용품 한시적 허용 여부는 감염증의 국내발생 현황이 지역별로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현재까지 지역사회 감염이 확인되지 않음에 따라 지자체장이 판단·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현재 지자체별로 각각의 실정에 맞게 운용 중
향후 일회용품 한시적 허용 대상의 범위·기간에 대해 감염증의 확산 경과 등에 따라 전국적인 기준이 필요할 경우 관계부처 및 지자체 등과 협의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예정 -조선일보 <종이컵 허용…기차역은 되고, 터미널은 안된다?>

☞[산업부] 현재 태양광용 폴리실리콘의 對中 수입 비중은 3% 이내로 미미한 수준이며, 국내 웨이퍼 생산업체는 대부분 독일에서 폴리실리콘을 수입하고 있는 점을 고려 시 OCI가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생산을 중단하더라도 중국산 폴리실리콘 수입은 증가하지 않을 전망
또한 2019년 기준 국내 태양광 시장에서 국산 모듈 점유율은 전년대비 6.2%p 상승한 78.7%로 국내 시장을 주도 중이며, 중국산 모듈의 점유율은 하락하는 추세임 -매일경제 <‘탈원전 정부’ 태양광 지원 늘리자…中제품만 쏟아져 들어왔다>

☞[산업부·농식품부] 기사 내용이 된 금번 미국의 상계관세 조치는 현재 우리나라에 적용되고 있는 농산물 관세와 보조금에는 영향이 없음
차기 WTO 농업협상이 타결될 때까지는 농업부문에 대한 현행 관세 및 보조금은 그대로 유지됨 -서울신문 <美, 개도국서 우리나라 제외…농업부문 관세·보조금 직격탄>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