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통일부 정례브리핑
안녕하십니까? 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남북회담 사료 공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통일부는 1970년대 진행된 남북적십자회담 분야 회담문서 총 3,028쪽을 오늘 국민에게 공개합니다. 이번 문서 공개는 올해 5월 4일 첫 공개에 이은 두 번째 공개입니다.
이번에 공개하는 문서에는 1970년대 초반에 각 7차례씩 개최된 남북적십자 본회담과 대표회의, 1970년대 중반에 25차례 개최된 남북적십자 실무회의의 진행과정과 회의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총 39차례에 이르는 남북적십자 분야 해당 기록을 통해 1970년대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과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남북한의 생생한 입장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개된 문서는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국립통일교육원, 북한자료센터 등 3곳에 마련된 남북회담 문서 열람실에서 열람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배포해드린 보도자료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모두에서 드릴 말씀은 여기까지입니다. 현안에 대해 질문 있으시면 받도록 하겠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북한 노동당 전원회의가 오늘까지도 계속되고 있는데요. 관련 동향을 통일부는 어떻게 파악하고 계시는지, 또 폐막일이나 결정서 발표는 언제쯤 이루어질지, 혹시 결정서 발표로 김정은 위원장 신년사가 대체될지 등에 대해서 어떻게 전망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2월 26일 당 중앙위 8기 6차 전원회의가 시작되어서 3일 차 회의까지 올해 주요 정책 평가와 내년도 사업계획에 대한 김정은 위원장의 보고와 함께 조직 문제에 대한 토의가 있었습니다. 어제 4일 차 회의에서는 부문별 분과 및 협의회 토의, 전원회의 결정서 초안 작성 작업이 진행되었다고 보도되었습니다.
아직 2019년과 2021년도 연말 전원회의 개최 사례를 볼 때 내일이나 모레 회의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정부는 회의 결과를 예단하지 않고 북한의 발표를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신년사와 관련해서도 2019년과 2021년도의 사례를 볼 때 내일이나 모레쯤에 신년사를 대체하는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만, 마찬가지로 북한의 발표를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최근 미국에서 미국 이산가족 상봉 법안이 제정이 됐고, 그러면서 한국 정부와 협의한다 했는데 관련해서 논의한 바가 있는지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관련 동향에 대해서는 제가 현재 드릴만 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확인한 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