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정부정책 모아보기 국민 건강과 안전, 반드시 지키겠습니다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정부정책 모아보기 국민 건강과 안전, 반드시 지키겠습니다

콘텐츠 영역

(법무부 알림) 제주 4·3사건 일반재판 수형인 20명, 첫 직권재심 무죄 선고 관련

2023.09.27 법무부
인쇄 목록



[법무부에서 알려드립니다 - 제주 4·3사건 일반재판 수형인 20명, 첫 직권재심 무죄 선고 관련]



 

○ 전일(9. 26.) 제주 4·3 사건 일반재판 수형인 20명에 대한 직권재심 청구 사건에서 첫 무죄 판결이 선고(제주지방법원)되었습니다.


○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하 ‘4·3사건법’)」은 직권재심 대상을 군법회의 수형인으로 한정하였으나,


  - 법무부장관은 ’22. 8. 10. 「명예회복과 권리구제의 필요성에서 차이가 없는 일반재판 수형인에 대해서도 직권재심을 청구하는 것이 정의와 형평에 부합」한다는 판단에 따라, 일반재판 수형인에 대해서까지 직권재심 청구를 확대할 것을 지시하였습니다. 


   ※ 법무부장관의 직권재심 청구 확대 지시 이후 ’23. 8. 일반재판 수형인에 대하여도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가 법무부장관에게 직권재심을 권고할 수 있도록 4·3사건법 개정


○ 위 판결은 이러한 법무부장관의 지시에 따라 ‘제주 4·3사건 직권재심 합동수행단’에서 일반재판 수형인에 대한 직권재심을 청구한 결과입니다.


  - 법무부장관은 ’23. 7. 제주방문 시 “국민의 억울함을 푸는 일은 정부와 공직자들의 손이 많이 간다고 해서 차등을 둘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최근 일반재판 수형인 30명에 대해 직권재심을 청구했는데, 한문으로 된 재판기록을 일일이 전수조사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다소 작업이 늦을 수밖에 없으나, 반드시 제대로 해야 한다.”고 당부한 바 있습니다. 


○ 앞으로도 법무부는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제주 4·3사건 관련자들의 명예회복 및 권리구제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 (일반재판 수형인 직권재심 추진 주요 경과) ① ’22. 12. 제주지검, 1차 직권재심 청구(10명, 미선고), ② ’23. 5.∼8. 합동수행단, 2∼4차 직권재심 청구(30명), ③ ’23. 9. 26. 제주지법, 2, 3차 직권재심 청구로 재심개시된 20명 전원 무죄 선고


   ※ (군법회의, 일반재판 차이) ’48. 11. 17.부터 같은 해 12. 31.까지 비상계엄 기간 중에는 제주도에 설치된 군법회의에서 관할(계엄령이 해제된 ’49. 이후에는 국방경비법을 적용한 사건의 경우에만 군법회의에서 관할) / 나머지는 일반재판 진행 ▨





“이 자료는 법무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히단 배너 영역

요즘 정책소식을 매주 뉴스레터로 받아보세요! 구독신청하기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