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참고)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응 브리핑(311차, 서면)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 1. 인사말씀 >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 2. 2~3차 IAEA 확충모니터링 결과 >
□ IAEA는 올해 2월에 실시한 2차 확충모니터링 및 올해 4월에 실시한 3차 확충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확충모니터링: IAEA 주관하에 제3국의 분석기관이 시료를 직접 채취하도록 하여 IAEA 모니터링 체계의 투명성을 강화한 조치
○ 2차 모니터링에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을 포함한 중국?스위스?프랑스 분석기관이 참여하여, K4 탱크 내 오염수와 원전 인근 해양환경 시료를 직접 채취하였습니다.
○ 3차 모니터링에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을 포함한 중국?스위스?러시아 분석기관이 참여하여 해수배관헤더 내 오염수를 직접 채취하였습니다.
□ IAEA는 각국 기관이 분석한 결과와 일본 도쿄전력의 분석결과를 비교하였고,
○ 모든 기관별 분석 결과는 이상치 판단 기준* 미만이었으며, 기관별 분석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 3km 이내 해수 삼중수소 농도: 리터(L)당 700베크렐(Bq) 미만 등
□ 우리 정부는 IAEA의 모니터링 활동에 그간 빠짐없이 참여한 것처럼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 오염수 방류가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이 없도록 철저히 검증하겠습니다.
< 3. 전문가 현지 파견 활동 결과 >
□ 우리 정부는 지난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에 파견했습니다.
○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 및 후쿠시마 원전을 방문하여, 방류설비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IAEA와 일본 측으로부터 방류 준비 상황 등 정보를 공유받았습니다.
① IAEA 현장사무소 방문
□ 먼저, IAEA는 도쿄전력 현장점검을 통해 방류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모니터링 결과도 이상치 판단기준 미만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또한, IAEA는 도쿄전력이 16차 방류 대상 오염수 시료를 분석 중이라고 언급했습니다.
② 원전 시설 방문
□ 다음으로, 우리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원전 시설을 방문하여, 주요 설비와 시설의 상태 및 방류 준비 상황 등을 직접 확인했습니다.
○ 확인 결과, 이송설비 구역과 전기기기실의 순환·이송펌프, 오염수 유량계와 유량조절밸브 등 설비의 상태에 특이사항은 없었습니다.
□ 또한, 도쿄전력 측과 질의응답을 통해 도쿄전력이 현재 16차 방류 대상 오염수 시료를 분석 중이며,
○ 17차 방류 대상 오염수는 측정·확인용 탱크(K4-A)로 이송 하여, 지난주에 시료채취를 완료했음을 확인했습니다.
○ 아울러, J9 구역의 일반저장탱크(총 12기) 해체 작업*이 모두 완료되었으며, 현재는 J8 구역(총 9기)의 일반저장탱크 해체를 준비하고 있음을 파악했습니다.
* 핵연료파편(데브리) 제거 관련 시설의 건설부지 확보 목적
< 4. 오염수 정책정보 관련 안내 >
□ 국정자원정보관리원 화재로 인해 서비스가 중단됐던 「정책브리핑-오염수 정책정보 모아보기」 누리집을 복구하여 운영을 재개하였습니다.
○ 그간의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 자료, 해양·수산물 방사능 안전정보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위 누리집을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다만, 올해 9~10월에 추진한 브리핑 자료 등은 아직 복구 중에 있으며, 후속 작업을 통해 신속히 제공할 계획입니다.
□ 우리 정부는 앞으로도 오염수 관련 정보를 적시에 투명하게 제공하겠습니다.
□ 이상입니다.
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 1. 인사말씀 >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 10월 22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321건과 187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갈치 24건, 삼치 18건, 꽃게 15건,
방어 13건, 고등어 12건
□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오징어, 삼치 등 5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927건을 선정하였고, 921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10월 3주차 8건(오징어, 삼치, 고등어, 바지락, 미역 등) 선정
○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중국 아귀, 베트남 새우 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66건을 선정하였고, 263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10월 3주차 대만 꽁치, 일본 돔, 일본 홍어
□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93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바지락, 삼치 등 18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에서 입항한 선박 6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627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강원 경포·속초, 경남 학동흑진주몽돌, 부산 해운대·광안리 등 5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10월 2주('25.10.6~10.10) 분석 의뢰한 전국 5개소 검사완료
□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남중해역 3개 지점, 남동해역 15개 지점, 서북해역 3개 지점, 원근해 11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 세슘134는 리터당 0.065 베크렐 미만에서 0.093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75 베크렐 미만에서 0.092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2 베크렐 미만에서 6.6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 (134Cs) <0.065~<0.093Bq/L, (137Cs) <0.075~<0.092q/L, (3H) <6.2~<6.6Bq/L
○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 이상입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 1. 인사말씀 >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 2.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10월 20일 4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10월 14일에 3개, 10월 20일에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 3km 이내 4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8~<7.0(검출하한치 미만)
** 3~10km 이내 총 4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2~<6.8(검출하한치 미만)
□ 이상입니다.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