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구급차는 언제 불러야 할까?

2017.08.31 .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구급차는 언제 불러야 할까?

  • 이럴 때는 지체 없이 구급차를 불러 주세요 하단내용 참조
  • 이럴 때는 지체 없이 구급차를 불러 주세요 하단내용 참조
  • 이럴 때는 지체 없이 구급차를 불러 주세요 하단내용 참조
  • 이럴 때는 지체 없이 구급차를 불러 주세요 하단내용 참조
  • 이럴 때는 지체 없이 구급차를 불러 주세요 하단내용 참조
  • 이럴 때는 지체 없이 구급차를 불러 주세요 하단내용 참조

구급차는 언제 불러야 할까요? 몸에 이상이 생겨도 구급차를 불러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하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이럴 때는 지체 없이 구급차를 불러 주세요!

지난해 119구급차로 이송된 응급환자 179만 3010명 중 심뇌혈관질환자는 13만 1959명으로 전체의 약 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소방청은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 전조증상이 있을 때는 가볍게 지나치지 말고 신속히 119에 신고해 구급차를 이용해 줄 것을 각별히 당부했습니다.

심혈관질환의 증상으로는 ▲갑작스런 흉통 및 어깨 통증, 헐떡임, 호흡곤란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통증 지속 ▲통증 장소가 몸 다른 곳으로 이동 등이 있습니다.

뇌혈관질환의 증상으로는 ▲손발이 갑자기 저리고 한쪽 팔이나 다리에 힘이 들어가지 않은 경우 ▲얼굴의 반쪽이 움직이기 어렵거나 저려오는 경우 ▲웃으면 입이나 얼굴의 좌·우가 다른 경우 ▲말이 나오지 않거나 어눌하게 언어장애가 있는 경우 ▲갑작스런 심한 두통, 어지러움, 구토 ▲시야가 흐리거나 갑자기 사물이 이중으로 보이는 경우 등으로 3시간 이내에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이 밖에도 호흡곤란이나 의식장애, 구토, 알레르기 증상이 있다면 신속히 119에 신고하거나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9대 수칙 바로가기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