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지역밀착형 생활SOC로 우리 함께 살아요

2018.11.14 .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지역밀착형 생활SOC로 우리 함께 살아요

  • 지역밀착형 생활SOC로 우리 함께 살아요 하단내용 참조
  • 지역밀착형 생활SOC로 우리 함께 살아요 하단내용 참조
  • 지역밀착형 생활SOC로 우리 함께 살아요 하단내용 참조
  • 지역밀착형 생활SOC로 우리 함께 살아요 하단내용 참조
  • 지역밀착형 생활SOC로 우리 함께 살아요 하단내용 참조
  • 지역밀착형 생활SOC로 우리 함께 살아요 하단내용 참조
  • 지역밀착형 생활SOC로 우리 함께 살아요 하단내용 참조
  • 지역밀착형 생활SOC로 우리 함께 살아요 하단내용 참조
  • 지역밀착형 생활SOC로 우리 함께 살아요 하단내용 참조

이번에 발표한 지역밀착형 생활SOC는 사람·이용 중심의 생활인프라에 투자 비중을 확대했는데요.
함께 잘 사는 나라를 위한 2019년 농업분야 투자방향을 알아볼까요?

◇청년일자리
농식품분야 청년 유입을 위해 취업·창업과 정착 단계별 종합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청년들의 보금자리가 있는 농촌을 조성합니다.
*청년 창업농 종합지원체계 구축 10,508억 원 → 12,949억 원

◇스마트농업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선도로 청년이 찾는 농업 혁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합니다.

◇농업인 소득안정
자연재해, 열악한 농작업 환경 등 경영위험에 노출된 농업인의 안전망을 강화합니다.

◇먹거리 공급

지역에서 생산된 농축산물이 지역에서 소비되는 먹거리 선순환체계를 구축하고, 안전성·품질 관리 체계를 마련합니다.
*푸드플랜 중심의 먹거리 선순환체계 구축과 안전한 먹거리 공급 1,926억 원 → 2,042억 원

◇동물복지
급증하는 반려동물 보유 가구 등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관련 공공서비스 공급을 확대합니다.
축산업을 동물 복지형으로 전환하여 축산물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농촌 생활여건 개선

농업활동을 통한 서비스 제공, 환경보전 등 사회적 경제 활성화와 지역밀착형 생활 SOC 투자 확대로 농촌의 생활여건을 개선합니다.

내 삶의 플러스, 2019년 활력 예산안.
우리 ‘함께’ 잘 사는 포용국가로 나아갑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