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코로나19 극복] 일반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코로나19 극복] 일반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유행 시 일반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하단내용 참조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유행 시 일반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하단내용 참조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유행 시 일반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하단내용 참조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유행 시 일반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하단내용 참조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유행 시 일반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하단내용 참조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유행 시 일반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하단내용 참조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유행 시 일반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하단내용 참조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유행 시 일반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하단내용 참조
  •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감염병 유행 시 일반 의료진의 마음건강지침 하단내용 참조

의료진은 자신의 스트레스에 대해 부정하고 도움받지 않으려는 태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의료진도 자신의 어려움을 인정하고 전문가 도움을 받음으로써 이겨낼 수 있습니다.

1. 믿을 만한 정보에 집중하세요.
불확실한 정보는 불안과 스트레스를 가중하고 올바른 판단을 어렵게 합니다. 질병관리본부의 정보에 집중하고, 의료진은 환자, 보호자에게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합니다.

2. 병원에서 제시하는 정보들을 챙기세요.
병원의 권고수칙을 읽고 실천하도록 합니다. 감염관리팀이 있는 경우, 전화번호를 숙지하고, 이해가 부족한 정보는 질문하고 명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의료진도 감염과 관련된 불안과 공포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약간의 걱정, 불안, 우울 등은 정상적인 스트레스 반응입니다. 하지만, 과도한 두려움이나 공포감에 압도돼 있다면, 정신 건강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의료진과 가족을 향한 낙인에 대해서 준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의료진은 감염병 대응 역할을 맡고 있기에 자신이나 가족이 낙인을 받거나 차별당할 수 있습니다. 정부와 언론, 의료기관은 의료진과 가족이 감염원으로 인식되는 낙인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심리적·사회적 지지 서비스들을 제공해주어야 합니다.

5. 업무량을 관리하면서 가족과 친구, 동료와 소통을 지속하세요.
스트레스 예방과 관리를 위해 합리적인 근무시간을 유지하고 휴식을 하는 등 업무 분담 및 작업 계획을 명확하게 합니다. 전화, 화상 전화, 메일 등을 통해 주위 사람과 힘든 감정을 함께 나누는 것도 좋습니다.

6. 규칙적인 생활을 하세요.
활동의 제한으로 생활 리듬이 흐트러지기 쉽습니다.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 수면 습관은 정신건강을 지키는 데에 매우 중요합니다.

마음 건강지침의 원문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홈페이지 (http://www.knpa.or.kr/)에서 확인해주세요.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