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우리 군의 여름, 안전하고 강한 훈련

[육군 특수전사령부]
■ 해상침투훈련(7.7.~7.11.)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귀성부대 특전대원들이 본격적인 해상침투훈련에 앞서 체력단련을 하고 있다.
(사진: 육군)
[육군사관학교]
■ 하계군사훈련(6.30.~8.8.)
공수기본자격 과정 중 하나로 모형탑에서 한 생도가 신속하게 이탈하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해군특수전전단 특수전교육훈련대대]
■ 오리발 전투수영 훈련(7.14.~7.29.)
해군특수전전단 특수전 기본과정 교육생들이 오리발 전투수영을 위해 바다로 뛰어들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해군사관학교]
■ 하계 전투수영훈련(7.28.~8.1.)
하계 전투수영훈련에 나선 해군사관학교 생도들이 옥포만에서 원영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해군 3함대 8구조작전중대]
■ 혹서기 구조전 전비 유지훈련(7.7.~7.31.)
혹서기 해양 재난 상황 대비 구조전 전비 유지훈련에 참여한 심해잠수사들이 스쿠버 훈련을 위해 입수하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공군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 전투 수상·수중 탐색구조 훈련(6.30.~7.4.)
항공구조사들이 조난된 조종사를 구조하기 위해 적지로 접근하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공군사관학교]
■ 하계군사훈련(7.21.~8.1.)
실제 구조상황을 가정한 헬기구조 시범을 보이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해병대 제1사단 72대대]
■ 상륙기습훈련 교관화 교육(7.7.~7.11.)
소형고무보트(IBS)를 이용한 상륙기습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 해병대)
[해병대 제2사단]
■ 한미 해병대 25-2차 KMEP 연합훈련(7.21.~8.2.)
한미연합 화생방훈련을 성공적으로 마친 양국 해병대 장병들이 손을 맞잡으며 전우애를 다지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해병대 제1사단 32대대]
■ 상륙기습 기초훈련(7.21.~8.1.)
해병대1사단 32대대 장병들이 도구해안 훈련장에서 IBS를 들고 해상 진수를 하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안전하고 강한 훈련으로 최정예 강군을 육성하겠습니다.
<온도지수별 행동·통제 기준>
· 주의(26.5°C 이상~29.5°C 미만)
양성교육, 야외훈련 시 미숙련자 주의.
· 부분제한(29.5°C 이상~31.0°C 미만)
뜀걸음, 행군 등 옥외훈련 조정 시행.
· 제한(31.0°C 이상~32.0°C 미만)
옥외훈련 제한 및 중지, 제한된 활동 가능.
· 중지(32.0°C 이상~)
경계작전 등 필수 활동만 실시.
*아침, 저녁시간 최대 활용
(사진 : 국방일보)
[육군 특수전사령부]
■ 해상침투훈련(7.7.~7.11.)
육군 특수전사령부 예하 귀성부대 특전대원들이 본격적인 해상침투훈련에 앞서 체력단련을 하고 있다.
(사진: 육군)
[육군사관학교]
■ 하계군사훈련(6.30.~8.8.)
공수기본자격 과정 중 하나로 모형탑에서 한 생도가 신속하게 이탈하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해군특수전전단 특수전교육훈련대대]
■ 오리발 전투수영 훈련(7.14.~7.29.)
해군특수전전단 특수전 기본과정 교육생들이 오리발 전투수영을 위해 바다로 뛰어들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해군사관학교]
■ 하계 전투수영훈련(7.28.~8.1.)
하계 전투수영훈련에 나선 해군사관학교 생도들이 옥포만에서 원영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해군 3함대 8구조작전중대]
■ 혹서기 구조전 전비 유지훈련(7.7.~7.31.)
혹서기 해양 재난 상황 대비 구조전 전비 유지훈련에 참여한 심해잠수사들이 스쿠버 훈련을 위해 입수하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공군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 전투 수상·수중 탐색구조 훈련(6.30.~7.4.)
항공구조사들이 조난된 조종사를 구조하기 위해 적지로 접근하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공군사관학교]
■ 하계군사훈련(7.21.~8.1.)
실제 구조상황을 가정한 헬기구조 시범을 보이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해병대 제1사단 72대대]
■ 상륙기습훈련 교관화 교육(7.7.~7.11.)
소형고무보트(IBS)를 이용한 상륙기습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 해병대)
[해병대 제2사단]
■ 한미 해병대 25-2차 KMEP 연합훈련(7.21.~8.2.)
한미연합 화생방훈련을 성공적으로 마친 양국 해병대 장병들이 손을 맞잡으며 전우애를 다지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해병대 제1사단 32대대]
■ 상륙기습 기초훈련(7.21.~8.1.)
해병대1사단 32대대 장병들이 도구해안 훈련장에서 IBS를 들고 해상 진수를 하고 있다.
(사진: 국방일보)
안전하고 강한 훈련으로 최정예 강군을 육성하겠습니다.
<온도지수별 행동·통제 기준>
· 주의(26.5°C 이상~29.5°C 미만)
양성교육, 야외훈련 시 미숙련자 주의.
· 부분제한(29.5°C 이상~31.0°C 미만)
뜀걸음, 행군 등 옥외훈련 조정 시행.
· 제한(31.0°C 이상~32.0°C 미만)
옥외훈련 제한 및 중지, 제한된 활동 가능.
· 중지(32.0°C 이상~)
경계작전 등 필수 활동만 실시.
*아침, 저녁시간 최대 활용
(사진 : 국방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