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 확인하세요!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 확인하세요!

  • 일용근로자, 프리랜서 등에게 소득을 지급했다면?!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 확인하세요! 하단내용 참조
  • 일용근로자, 프리랜서 등에게 소득을 지급했다면?!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 확인하세요! 하단내용 참조
  • 일용근로자, 프리랜서 등에게 소득을 지급했다면?!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 확인하세요! 하단내용 참조
  • 일용근로자, 프리랜서 등에게 소득을 지급했다면?!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 확인하세요! 하단내용 참조

일용근로자, 프리랜서 등에게 소득을 지급했다면?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를 확인하세요!


■ 실시간 소득파악 제도란?

사업자, 비영리단체, 국가기관 등이 일용근로자, 프리랜서 등에게
소득을 지급한 경우 소득자료를 매월 제출하는 제도입니다.

■ 소득자료 제출의무자

· 일용·상용근로자, 보험설계사 등 프리랜서, 강연·고문용역을 제공한 기타소득자에 대가를 지급한 자
· 대가를 지급하지 않더라도 사업장을 제공하거나 용역을 알선·중개한 경우에도 제출의무가 있습니다.

■ 미제출·허위제출 시 발생 불이익
1) 미제출 등 가산세 (소득법§81의 11, 법인법§75의 7)

·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미제출(지연제출)
: 지급액 X 0.25% (1개월 이내, 0.125%)

· 간이지급 명세서(거주자의 사업소득, 거주자의 기타소득) 미제출(지연제출)
: 지급액 X 0.25% (1개월 이내, 0.125%)

· 근로소득 미제출(지연제출)
: 지급액 X 0.25% (3개월 이내, 0.125%)

· 불분명* 제출
: 지급액 X 0.25%

*인적사항, 지급액 등 미기재 또는 오류로 지급 사실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2) 미제출 등 과태료 (소득법§173, 소득법§177)

· 사업장제공자 등의 과세자료 제출명세서
  - 전부 미제출: 건별 20만 원
  - 일부 미제출 또는 사실과 다른 제출: 건별 10만 원

*과세관청의 시정명령이 있은 후 그 명령사항을 위반한 경우 과태료 부과

■ 성실 제출시 세액공제 혜택

· 적용대상 소득자료: 사업장제공자 등의 과세자료 제출 명세서 (*그 외 소득자료 적용대상 X)
· 적용요건: 제출기한 내에 전자제출 (홈택스·손택스)
· 적용기간: '21.11.11. ~ '26.12.31.
· 공제금액: 용역 제공자 수 X 500원 ('24.12.31. 제출 분까지 300원)
 연간 최대 200만 원, 최소 1만 원

■ 소득자료 제출방법

☞ 홈택스(PC)
☞ 손택스(모바일)
☞ 우편·방문 제출

제출 서식은 국세청 누리집 또는 가까운 세무서를 방문하세요!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