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기청소년 조기 발굴, 맞춤형 지원 강화

위기청소년 조기 발굴, 맞춤형 지원 강화

위기청소년 조기 발굴, 맞춤형 지원 강화

위기청소년 조기 발굴, 맞춤형 지원 강화

위기청소년을 조기에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습니다.
- 위기취약 청소년 지원정책 1편
■ 위기청소년 지원 사업이란?
자살·자해, 은둔·고립, 가정 밖·학교 밖 등 다양한 위기 상황에 처한 청소년이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알고 계신가요?
성평등가족부는 위기청소년 한 명 한 명의 상황에 맞춘 맞춤형 지원사업을 전국 곳곳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위기청소년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 함께 확인해보세요.
■ 위기 청소년을 24시간 가장 가까이에서 지원합니다.
·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전국 240개소)에서는 상담, 긴급구조, 자립, 의료지원 등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365일 24시간 청소년상담1388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대상: 9~24세 청소년 및 보호자
- 신청 방법
① 직접 방문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방문 신청
② 청소년상담1388을 통해 신청
③ 청소년1388 홈페이지
청소년 1388→서비스 신청→내 주변 시설
<청소년상담 1388>
① 전화 : 청소년상담1388(휴대전화는 지역번호+1388)
② 문자: 1388번으로 고민내용 전송
③ 카카오톡·페이스북·인스타그램: '청소년상담1388' 검색 후 상담
④ 라인: '@cyber1388'검색 후 상담
⑤ 채팅·게시판 : www.1388.go.kr 접속 후 상담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상담 우수사례
임신 8개월인 19세 청소년 A는 불안한 심정으로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처음 센터를 찾았을 때, A는 극심한 불안과 두려움으로 자신의 상황을 감당하기 어려워했다.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는 전문상담을 통해 심리적으로 안정되도록 하였고, 출산과 양육에 대한 현실적 대안을 함께 탐색하였다.
상담 과정에서 A는 갈등과 혼란을 정리하고, 고민 끝에 아이를 직접 양육하기로 의사결정 하였다. 이후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지자체와 협력하여 신생아의 선천성 질환 수술비 지원, 긴급복지 생계지원, 가족센터 물품지원, 민간 연계를 통해 가전·가구 등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정기적인 상담을 통해 부모로서의 효능감을 높이고 양육 자신감을 가지도록 지원하였다. 그 결과, A는 심리적 불안을 극복하고 물리치료학과에 진학해 새로운 꿈을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청소년인 아버지는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부모로서의 책임을 다하고 있다.
위기청소년을 조기에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습니다.
- 위기취약 청소년 지원정책 1편
■ 위기청소년 지원 사업이란?
자살·자해, 은둔·고립, 가정 밖·학교 밖 등 다양한 위기 상황에 처한 청소년이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알고 계신가요?
성평등가족부는 위기청소년 한 명 한 명의 상황에 맞춘 맞춤형 지원사업을 전국 곳곳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위기청소년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 함께 확인해보세요.
■ 위기 청소년을 24시간 가장 가까이에서 지원합니다.
·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전국 240개소)에서는 상담, 긴급구조, 자립, 의료지원 등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365일 24시간 청소년상담1388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대상: 9~24세 청소년 및 보호자
- 신청 방법
① 직접 방문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방문 신청
② 청소년상담1388을 통해 신청
③ 청소년1388 홈페이지
청소년 1388→서비스 신청→내 주변 시설
<청소년상담 1388>
① 전화 : 청소년상담1388(휴대전화는 지역번호+1388)
② 문자: 1388번으로 고민내용 전송
③ 카카오톡·페이스북·인스타그램: '청소년상담1388' 검색 후 상담
④ 라인: '@cyber1388'검색 후 상담
⑤ 채팅·게시판 : www.1388.go.kr 접속 후 상담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상담 우수사례
임신 8개월인 19세 청소년 A는 불안한 심정으로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처음 센터를 찾았을 때, A는 극심한 불안과 두려움으로 자신의 상황을 감당하기 어려워했다.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는 전문상담을 통해 심리적으로 안정되도록 하였고, 출산과 양육에 대한 현실적 대안을 함께 탐색하였다.
상담 과정에서 A는 갈등과 혼란을 정리하고, 고민 끝에 아이를 직접 양육하기로 의사결정 하였다. 이후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지자체와 협력하여 신생아의 선천성 질환 수술비 지원, 긴급복지 생계지원, 가족센터 물품지원, 민간 연계를 통해 가전·가구 등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정기적인 상담을 통해 부모로서의 효능감을 높이고 양육 자신감을 가지도록 지원하였다. 그 결과, A는 심리적 불안을 극복하고 물리치료학과에 진학해 새로운 꿈을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청소년인 아버지는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부모로서의 책임을 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