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중소기업 지원 사업, AI를 기반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바뀐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11월 4일(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책은 지난 8월 한성숙 장관이 주재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와 10월 주재한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 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업계 및 관련 기관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마련되었습니다.
그간 기업 간담회 등에 참석한 중소기업들은 '지원 사업 정보를 어디서 찾고, 어디서 신청해야 할지 모르겠다', '우리 기업의 기술을 평가 위원이 잘 모르는 것 같다'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으며 이번 대책에는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였습니다.
■ 대책 추진 방향
·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 디지털화로 서류부담 감축
· 시장·AI 기반 혁신기업 선별 강화
·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 불법 브로커 등 제3자 부당개입 차단
■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주요 내용
①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가칭 '기업마당') 구축
·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의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
· 통합 플랫폼 로그인만으로 타 부처의 지원 사업 신청 채널과 연결되어 지원 사업 신청까지 원스톱 서비스 제공
② AI 기반 맞춤형 지원사업 서비스 제공
· 기업·정책정보 등을 학습한 AI를 통해 대화형 자연어 검색 기반의 민원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업별 맞춤형 지원 사업 추천
· 창업, 수출, 소상공인, 제조기업 등 지원 대상별 특화된 정보 제공
③ 디지털화로 서류부담 감축
· 지원 사업 신청 시 제출서류 50% 이상 감축(평균 9개 → 4.4개)
· 사업계획서 작성을 키워드 입력만으로 초안을 작성해 주는 AI 지원
④ 불법 브로커 등 제3자 부당개입 차단
· 13개 지방 중소벤처기업청과 7개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에 제3자 부당개입 예방·신고 채널을 운영할 계획
· 제3자 부당개입 행위 중 기관 사칭, 허위서류 제출 등 불법 행위를 유형화하고 이에 대한 자료 제출 요구권, 제재 규정 마련
⑤ 시장·AI 기반 혁신기업 선별 강화
· VC가 선투자하고 추천한 스타트업을 정부가 매칭 지원하는 방식 확대
· 글로벌 대기업이 수요에 맞는 파트너 스타트업을 직접 선별하여 정부와 함께 지원하는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도 확대
· AI·빅데이터 기반 혁신 기술기업 평가 모델(K-TOP) 확산
· AI 기반 중소기업·소상공인 심사 고도화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중소기업 지원 사업, AI를 기반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바뀐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11월 4일(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책은 지난 8월 한성숙 장관이 주재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와 10월 주재한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 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업계 및 관련 기관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마련되었습니다.
그간 기업 간담회 등에 참석한 중소기업들은 '지원 사업 정보를 어디서 찾고, 어디서 신청해야 할지 모르겠다', '우리 기업의 기술을 평가 위원이 잘 모르는 것 같다'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으며 이번 대책에는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였습니다.
■ 대책 추진 방향
·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 디지털화로 서류부담 감축
· 시장·AI 기반 혁신기업 선별 강화
·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 불법 브로커 등 제3자 부당개입 차단
■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주요 내용
①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가칭 '기업마당') 구축
·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의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
· 통합 플랫폼 로그인만으로 타 부처의 지원 사업 신청 채널과 연결되어 지원 사업 신청까지 원스톱 서비스 제공
② AI 기반 맞춤형 지원사업 서비스 제공
· 기업·정책정보 등을 학습한 AI를 통해 대화형 자연어 검색 기반의 민원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업별 맞춤형 지원 사업 추천
· 창업, 수출, 소상공인, 제조기업 등 지원 대상별 특화된 정보 제공
③ 디지털화로 서류부담 감축
· 지원 사업 신청 시 제출서류 50% 이상 감축(평균 9개 → 4.4개)
· 사업계획서 작성을 키워드 입력만으로 초안을 작성해 주는 AI 지원
④ 불법 브로커 등 제3자 부당개입 차단
· 13개 지방 중소벤처기업청과 7개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에 제3자 부당개입 예방·신고 채널을 운영할 계획
· 제3자 부당개입 행위 중 기관 사칭, 허위서류 제출 등 불법 행위를 유형화하고 이에 대한 자료 제출 요구권, 제재 규정 마련
⑤ 시장·AI 기반 혁신기업 선별 강화
· VC가 선투자하고 추천한 스타트업을 정부가 매칭 지원하는 방식 확대
· 글로벌 대기업이 수요에 맞는 파트너 스타트업을 직접 선별하여 정부와 함께 지원하는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도 확대
· AI·빅데이터 기반 혁신 기술기업 평가 모델(K-TOP) 확산
· AI 기반 중소기업·소상공인 심사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