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수산물 유통, 디지털·스마트 혁신으로 새롭게 바뀝니다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 발표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수산물 유통, 디지털·스마트 혁신으로 새롭게 바뀝니다

  • 수산물 유통, 디지털·스마트 혁신으로 새롭게 바뀝니다 하단내용 참조
  • 수산물 유통, 디지털·스마트 혁신으로 새롭게 바뀝니다 하단내용 참조
  • 수산물 유통, 디지털·스마트 혁신으로 새롭게 바뀝니다 하단내용 참조
  • 수산물 유통, 디지털·스마트 혁신으로 새롭게 바뀝니다 하단내용 참조
  • 수산물 유통, 디지털·스마트 혁신으로 새롭게 바뀝니다 하단내용 참조

복잡한 유통은 줄이고↓ 신선함은 더하고↑
수산물 유통, 디지털·스마트 혁신으로 새롭게 바뀝니다.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 발표

■ 유통경로를 간소화하여 유통비용 절감

① 위판장 현대화, FPC·FDC 확충 및 연계 강화로 유통 간소화
· 노후화된 산지 위판장을 저온·친환경 시설로 현대화
· 산지거점유통센터(FPC)와 소비지분산물류센터(FDC)를 확충 및 연계 강화
*FPC: 산지 특성을 반영한 상품·상표 개발 / FDC: 신규 판로 확보 등 추진

기존(6단계): 생산자(어업인) → 산지 위판장 → 산지 중도매인 → 소비지 도매시장 → 소비지 중도매인 → 소매상 → 소비자
간소화(4단계): 생산자(어업인) → FPC → FDC → 소매상 → 소비자

②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 확대로 유통비용 절감
· 거래가능한 수산물 품목 60 → 134개로 확대, 판매자 가입 요건 완화 등 규제 개선
· 정산·결제자금 융자 지원, 수협공판장과 온라인 도매시장 간 여신 시스템 연계 (~'28, 9개소)

■ 신(新) 유통경로 신설을 통해 유통단계 축소

① ICT 기반 온라인 위판으로 산지-소비지 직통 경로 구축
· 조업 후 귀항 중 선상에서 모바일기기로 위판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온라인 위판(전자경매) 시스템 도입
· 고등어·갈치 등 대중성 어종을 대상으로 유통단계별 영상을 수집하여 자동으로 기록하고, 수집된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유통경로 추적 기술 개발 추진

② 소비지 직매장 설치 등으로 유통단계 축소 및 소비자 접근성 제고
· 대도시권 소비지에 수산물 전문 직매장 설치 지원('25~)
*수도권 30개소('25) → 충청권 30개소('26) → 단계적 확대
· 도매시장에서 식당 등으로 실시간 배송할 수 있는 체계 구축

■ 데이터 기반 수급 관리 및 스마트 혁신으로 공급망 안정화

① 기후변화 대응형 스마트양식 확산으로 생산기반 강화
· 기후변화에 따른 양식품종 전환 및 양식지 이동 시 지원 강화
· 종자시설의 스마트·자동화 지원(30개소),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 등으로 안정적인 물가관리 여건 조성
· 대량폐사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기 위해 사후 재해 복구 중심에서 피해 예방형으로 패러다임 전환

② 수급 예측, 공급망 관리 고도화로 가격안정 및 대응력 강화
· 수급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주요 수산물*의 수급예측모형 개발
*어획산 6종(고등어·갈치·오징어·명태·참조기·마른멸치), 양식산 4종(김·굴·전복·광어) 등
· 생산-수급-수요를 연동한 인공지능(AI) 기반 종합 예측모형으로 고도화 추진
· 수산물에 특화된 소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유통구조를 소비자 맞춤형으로 지속 개선

■ 디지털 기반 유통 투명화로 가격안정 및 신뢰 제고

① 도매시장 물량 분산 기반 마련을 통해 가격변동성 완화
· 시장별·품목별 거래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주요 도매시장부터 전자송품장 시범 적용('27~, 가락시장)으로 가격급·등락 방지
· 결제자금 융자 지원 확대 등 정가·수의매매를 활성화하여 경매의존도를 완화하고 안정적인 가격 형성을 유도

② 어획증명제, 수산물 이력제 확대를 통해 소비자 신뢰 확보
· 표준화된 어종 코드 개발, 온라인 위판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 체계 구축 등 바다로 시스템*을 고도화하여 생산단계부터 정보제공 강화
*수협 일선 조합이 어획된 수산물을 위판하고 대금을 정산하는 과정에서 산지 어획량, 어가 등 데이터를 축적한 수협의 근간 시스템
· 대형유통사와 양식장의 수산물 이력제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수산물 유통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 하위법령 개정 등 추진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