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전남·제주·부산·경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전남·제주·부산·경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 전남·제주·부산·경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하단내용 참조
  • 전남·제주·부산·경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하단내용 참조
  • 전남·제주·부산·경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하단내용 참조
  • 전남·제주·부산·경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하단내용 참조
  • 전남·제주·부산·경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하단내용 참조

<부산(강서)·경기(의왕)>
■ 규제특례 적용으로 전략 신산업 활성화
· 부산
- ESS 대규모 설치
- 다양한 수용가를 활용해 전기요금 절약 사업유형 마련

· 경기도
- 공원 안 태양광, ESS, 전기차 충전소 연결
- 마이크로그리드 활용한 저장된 전기를 전기차에 충전하고 수익 올리는 사업 운영

<제주·전남>
■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 시범운영
· 제주
- P2H(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히트펌프를 이용해 열에너지로 변환)
- 가상발전소(사업자가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통합해 전력시장 참여 및 수익모델 발굴)
- V2G(전기차 배터리를 ESS처럼 활용하고 전력시장 참여) 사업 등 추진

· 전라남도
- 데이터센터 유치(해남·영암)
-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산업단지와 대학에 시범 적용
- ESS를 보급해 재생에너지 접속대기 물량을 줄이고 배전망 효율화 하는 사업 추진

■ 에너지 자립의 첫걸음, 분산특구 지정
- 수요지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곳에서 소비
- 분산에너지 발전 사업자와 전기사용자간 전력 직접거래 허용
- 다양한 요금제 도입 가능
- 전력 신산업의 모델 활성화 가능

에너지 시스템의 전환과 혁신을 통해 탈탄소 녹색문명으로 나아가는 대전환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겠습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