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 발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 발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 발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 발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 발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 발표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인재양성 방안 발표

■ [국정과제 99] AI 디지털시대 미래인재 양성
· 주요 목표 1
국민 누구나 인공지능(AI)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 생애주기에 걸친 보편적 AI 교육 확대
· 주요 목표 2
AI 세계 3강 도약을 견인하는 혁신인재, 융합인재 등 다층적 AI 인재양성
① 국민 누구나 AI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생애주기별 AI 기본교육 강화
(초중등)
· 현행 정보과목 내 AI 교육시간 확대
· AI 중점학교 단계적 확대('25년 730교→'28년 2,000교)
· AI 교육과정 개정 추진
(대학)
· 거점국립대 중심 AI 기본교육과정 도입
· 대학 AI 교육과정 개발·운영 지원('26년 30교, 90억 원)
· 우수 AI 교육과정 공유
· 우수 교원 교류 제도 정비
(평생·직업교육)
· 재직자 AID(AI+Digital) 집중과정 확대('25년 30교→'26년 38교)
· K-MOOC·사이버대·방송대 등 온라인 기본교육 확대
· 디지털 평생교육 이용권 지원 확대
국민 모두가 소외되지 않고, 삶 속에서 AI를 활용하는 소양을 갖추도록 AI 기본교육을 강화합니다!
② AI 발전의 지역격차를 좁힐 수 있도록!
지역별 AI 인재양성 체계 구축
(초중등)
· 모든 교육청에 AI 교육지원센터 설립('26년 3개 시범운영→'28년 전체 시도 확대)
· 교육청-대학-기업 참여 학교 AI 교육협력체계 구축
(대학)
· AI 거점대학 육성('26년 3교, 300억)
· AI 부트캠프 지역 중심 선정('26년 37교)
· 거점대-과기원-기업-연구소 등 지역 AI 인재양성 체계 구축
(대학원)
· 지역단위 연구생태계 조성(글로컬랩, '25년 14개→'26년 24개(누적))
· 두뇌한국(BK) 21 권역별 연합 교육연구단 도입(3개, 30억)
AI 대전환이 지역 균형과 함께 이뤄지도록 지역 단위의 AI 교육을 강화합니다!
③ 우수인재들이 해외로 유출되지 않도록!
우수 AI 인재의 조기양성과 안정적 성장경로 구축
(초중등)
· 과학고, 영재학교 AI·SW 특화 프로그램 지원 확대('25년 14교→'26년 27교)
· 과학고, 영재학교 AI 입학전형 확대
(대학)
· 학·석·박 패스트트랙 도입(8년→5.5년)
· 이공분야 우수인재 성장경로 지원(400명, 연 2,000만 원 지원)
· 과학기술 비자·영주권 패스트트랙 확대
(대학원)
· BK21 AI연구단 지원
· 박사후연구원 제도화
(평생·직업교육)
· 국공립 교원 연봉 등 규제 개선
· 창업 지원 확대
· 국가석좌교수제 도입
국내 우수 학생들이 AI 분야 등 첨단분야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하며 다른 국가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로를 구축합니다!
④ AI 융합인재 양성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AI 융합인재 양성
(초중등)
· STEAM* 교육 강화
· 지능형 과학실 확대('25년 60%→'27년 100%)
· 질문하는 학교 선도학교 확대('25년 104교→'27년 200교)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인문·예술(Arts), 수학(Mathematics)
(대학)
· AX 부트캠프 신규 선정('26년 10교)
· AID 전환 중점 전문대학 신규 도입('26년 24교 내외)
· 인문사회분야 성장 경로 강화(글로벌 리서치 신설 등)
(대학원)
· AI 및 AX 대학(원) 정원 확대
· 두뇌한국 21 AX 연구단 도입('26년, 3개 42억 원)
우리가 갖춘 튼튼한 제조업 기반을 토대로 각 산업에서 요구하는 융합인재를 적극 양성해 국가경쟁력을 강화합니다!
⑤ 신속한 현장투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기업-대학 공동 AI 인재양성 모델 활성화
(초중등)
· AI·SW 마이스터고 신규 지정
· 직업계고 AI 중심 학과 재구조화('25년 20%→'28년 35%→'30년 50%)
· 모든 특성화고 대상 AI 리터러시-활용역량 강화 지원
('26년 100교→'30년 500교(누적))
(대학)
· 기업과 대학의 협약으로 계약학과, 계약정원제 지속 확대
· 졸업예정 학생들의 직무 경험 인턴십 과정 지원
(대학원)
· 기업이 AI 인재를 직접 양성하는 사내대학원 설치 기반 공고화
· 연구개발 성과물 등으로 학위를 취득하는 (가칭)산업학위제 도입
현장에서 바로 역할을 할 수 있는 AI 인재를 양성하여 산업계 부담을 완화합니다!
■ [국정과제 99] AI 디지털시대 미래인재 양성
· 주요 목표 1
국민 누구나 인공지능(AI)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 생애주기에 걸친 보편적 AI 교육 확대
· 주요 목표 2
AI 세계 3강 도약을 견인하는 혁신인재, 융합인재 등 다층적 AI 인재양성
① 국민 누구나 AI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생애주기별 AI 기본교육 강화
(초중등)
· 현행 정보과목 내 AI 교육시간 확대
· AI 중점학교 단계적 확대('25년 730교→'28년 2,000교)
· AI 교육과정 개정 추진
(대학)
· 거점국립대 중심 AI 기본교육과정 도입
· 대학 AI 교육과정 개발·운영 지원('26년 30교, 90억 원)
· 우수 AI 교육과정 공유
· 우수 교원 교류 제도 정비
(평생·직업교육)
· 재직자 AID(AI+Digital) 집중과정 확대('25년 30교→'26년 38교)
· K-MOOC·사이버대·방송대 등 온라인 기본교육 확대
· 디지털 평생교육 이용권 지원 확대
국민 모두가 소외되지 않고, 삶 속에서 AI를 활용하는 소양을 갖추도록 AI 기본교육을 강화합니다!
② AI 발전의 지역격차를 좁힐 수 있도록!
지역별 AI 인재양성 체계 구축
(초중등)
· 모든 교육청에 AI 교육지원센터 설립('26년 3개 시범운영→'28년 전체 시도 확대)
· 교육청-대학-기업 참여 학교 AI 교육협력체계 구축
(대학)
· AI 거점대학 육성('26년 3교, 300억)
· AI 부트캠프 지역 중심 선정('26년 37교)
· 거점대-과기원-기업-연구소 등 지역 AI 인재양성 체계 구축
(대학원)
· 지역단위 연구생태계 조성(글로컬랩, '25년 14개→'26년 24개(누적))
· 두뇌한국(BK) 21 권역별 연합 교육연구단 도입(3개, 30억)
AI 대전환이 지역 균형과 함께 이뤄지도록 지역 단위의 AI 교육을 강화합니다!
③ 우수인재들이 해외로 유출되지 않도록!
우수 AI 인재의 조기양성과 안정적 성장경로 구축
(초중등)
· 과학고, 영재학교 AI·SW 특화 프로그램 지원 확대('25년 14교→'26년 27교)
· 과학고, 영재학교 AI 입학전형 확대
(대학)
· 학·석·박 패스트트랙 도입(8년→5.5년)
· 이공분야 우수인재 성장경로 지원(400명, 연 2,000만 원 지원)
· 과학기술 비자·영주권 패스트트랙 확대
(대학원)
· BK21 AI연구단 지원
· 박사후연구원 제도화
(평생·직업교육)
· 국공립 교원 연봉 등 규제 개선
· 창업 지원 확대
· 국가석좌교수제 도입
국내 우수 학생들이 AI 분야 등 첨단분야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하며 다른 국가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로를 구축합니다!
④ AI 융합인재 양성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AI 융합인재 양성
(초중등)
· STEAM* 교육 강화
· 지능형 과학실 확대('25년 60%→'27년 100%)
· 질문하는 학교 선도학교 확대('25년 104교→'27년 200교)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인문·예술(Arts), 수학(Mathematics)
(대학)
· AX 부트캠프 신규 선정('26년 10교)
· AID 전환 중점 전문대학 신규 도입('26년 24교 내외)
· 인문사회분야 성장 경로 강화(글로벌 리서치 신설 등)
(대학원)
· AI 및 AX 대학(원) 정원 확대
· 두뇌한국 21 AX 연구단 도입('26년, 3개 42억 원)
우리가 갖춘 튼튼한 제조업 기반을 토대로 각 산업에서 요구하는 융합인재를 적극 양성해 국가경쟁력을 강화합니다!
⑤ 신속한 현장투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기업-대학 공동 AI 인재양성 모델 활성화
(초중등)
· AI·SW 마이스터고 신규 지정
· 직업계고 AI 중심 학과 재구조화('25년 20%→'28년 35%→'30년 50%)
· 모든 특성화고 대상 AI 리터러시-활용역량 강화 지원
('26년 100교→'30년 500교(누적))
(대학)
· 기업과 대학의 협약으로 계약학과, 계약정원제 지속 확대
· 졸업예정 학생들의 직무 경험 인턴십 과정 지원
(대학원)
· 기업이 AI 인재를 직접 양성하는 사내대학원 설치 기반 공고화
· 연구개발 성과물 등으로 학위를 취득하는 (가칭)산업학위제 도입
현장에서 바로 역할을 할 수 있는 AI 인재를 양성하여 산업계 부담을 완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