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새만금 식품허브 투자 활성화 계획

K-푸드 세계 거점, 글로벌 농식품 수출 플랫폼으로 도약 중인 새만금!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새만금 식품허브 투자 활성화 계획

  • 새만금 식품허브 투자 활성화 계획 하단내용 참조
  • 새만금 식품허브 투자 활성화 계획 하단내용 참조
  • 새만금 식품허브 투자 활성화 계획 하단내용 참조
  • 새만금 식품허브 투자 활성화 계획 하단내용 참조
  • 새만금 식품허브 투자 활성화 계획 하단내용 참조

■ 식품허브, 새만금에 자리를 잡다
- 종합 식품 클러스터
수출·가공·연구·MICE·브랜딩 융합

- 종합 식품산업 생태계 구축 목표
기술, 브랜드, 유통 결합

- 지역 연계 확대
스마트 수변도시·새만금신항·익산 식품클러스터

글로벌 농식품 수출·가공·R&D 중심지로, 새만금 식품허브 조성 본격화 중!

■ 식품허브를 채우는 핵심 투자 분야는?
- 수출형 식품 제조
: 수산물, 펫푸드, 전통식품, 김 기능성 식품 등

- 수출 인프라
: 새만금 신항,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와 연계한 물류 거점

- 식품 가공 클러스터
: 아파트형 공장, 스마트 수산식품 단지, 협력지원센터 등

- R&D 및 시험 인증
: 수산식품 R&D 시설, 와게닝겐대 연구협력 등

- K-푸드 콘텐츠 개발
: K-푸드 80선, 펫푸드의 날 등 브랜드화 콘텐츠

■ 3,000억 원 이상, 식품허브에 쏟아지는 투자
· 수산식품 수출가공 종합단지- 1,700억 원
: 풀무원 등 12개사 투자 유치

· 식품클러스터 내 기업 투자- 1,300억 원
: 수산식품·냉동냉장·김 가공 등 8개 수산식품 기업

· AI 기반 스마트 수산식품 가공 및 R&D 클러스터 조성
- 총 2,993억 원(국비 380억 원, 도비 191억 원, 민간 2,422억 원)
: 수산 분야 선도기업 11개소와 업무협약 체결 및 스마트 가공단지, R&D, 협력센터 등 핵심 기반 구축 추진

→ 해외시장 겨냥 스마트 수산가공단지 조성 중(2025년 착공 예정) 생산-수출 일원화 모델 구축

■ K-푸드의 꿈, 새만금에서 현실로
· K-푸드 수출 확대
아시아를 넘어 유럽·중동·미주 시장 공략

· 규제개선
식품 기업 애로 해소 위한 규제개혁 TF 운영

· 브랜드화 전략
K-푸드 콘텐츠·전시·행사 연계 강화

·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고용 창출·신산업 유치·지역 소득 증대

· 입지 전략
농식품부, 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민간기업 등과 MOU 다수 체결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