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기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전주기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전주기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의사과학자 집중 양성을 통한 바이오 메디컬 기술혁신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의사과학자란?
의사면허와 박사학위를 보유하고, 연구에 필요한 충분한 교육·훈련을 받아 과학적 연구를 수행하는 사람
→ 의사과학자 안정적 양성 및 매년 의과대학 졸업생의 3% 이상 배출 목표!
1. 학위과정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 '26년 예산 89억
(지원 금액)
- 학부과정 지원: 19.2억 원
- 대학원 인프라 지원, 전공의 연구지원, 전일제 박사학위 지원 지원: 64억 원
2. 연구지원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 '26년 예산 1,014억
(지원 금액)
· 박사후 연구성장 지원
- 신진: 2억 원/년, 3년
- 심화: 3억 원/년, 3+2년
· 의사과학자 글로벌 연수지원
- 1억 원/년, 1년
■ 의사과학자 주요 진로
· 병원
김한상 교수(종양학과)
종양의 유무, 암 종류까지 진단 가능한 단백질 바이오마커 규명
· 연구소
최형진 교수(뇌인지학과)
GLP-1의 식욕억제 기전을 규명, 비만·대사질환 개선에 기여
· 창업
이정호 교수(소바젠)
난치성 뇌전증 치료를 위한 신약 후보를 7,500억 원에 기술 수출
의사과학자 집중 양성을 통한 바이오 메디컬 기술혁신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의사과학자란?
의사면허와 박사학위를 보유하고, 연구에 필요한 충분한 교육·훈련을 받아 과학적 연구를 수행하는 사람
→ 의사과학자 안정적 양성 및 매년 의과대학 졸업생의 3% 이상 배출 목표!
1. 학위과정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 '26년 예산 89억
(지원 금액)
- 학부과정 지원: 19.2억 원
- 대학원 인프라 지원, 전공의 연구지원, 전일제 박사학위 지원 지원: 64억 원
2. 연구지원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 '26년 예산 1,014억
(지원 금액)
· 박사후 연구성장 지원
- 신진: 2억 원/년, 3년
- 심화: 3억 원/년, 3+2년
· 의사과학자 글로벌 연수지원
- 1억 원/년, 1년
■ 의사과학자 주요 진로
· 병원
김한상 교수(종양학과)
종양의 유무, 암 종류까지 진단 가능한 단백질 바이오마커 규명
· 연구소
최형진 교수(뇌인지학과)
GLP-1의 식욕억제 기전을 규명, 비만·대사질환 개선에 기여
· 창업
이정호 교수(소바젠)
난치성 뇌전증 치료를 위한 신약 후보를 7,500억 원에 기술 수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