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종합대책 발표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종합대책 발표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종합대책 발표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종합대책 발표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종합대책 발표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종합대책 발표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종합대책 발표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종합대책 발표

겨울철 자연재난(대설·한파) 종합대책 발표

예보를 뛰어넘는 기상상황까지 대비하여, 인명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11월 15일부터 겨울철 대설·한파대책기간을 운영합니다.
■ '25~'26년 겨울철 자연재난 종합대책 발표 [대설]
① 촘촘한 사전대비
· 17개 시·도에 재난대책비(재난특교세) 100억 원 선제 지급 완료
· 제설제, 제설장비·인력 등 사전 확보
· 지방정부의 겨울철 사전 대비 실태 점검 및 최종 준비 상황 확인
· 현장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합동훈련 및 기관별 현장훈련 실시
② 취약지역·시설 중점 관리
· 재해우려지역(적설취약구조물, 결빙취약구간 등) 지정 및 사전점검 실시
· 위험기상 시 지속적인 예찰·점검 활동 실시
· 적설로 인한 붕괴 취약시설(원예·특작시설, 전통시장 아케이드 등)의 내설 설계기준 개선
③ 강화된 상황관리
· 습설예보 전국 단위 확대 및 적설실황 표출 주기 단축 제공
· 실황 기반의 대설 재난문자 및 위험알림 음성메시지(VMS) 운영
· 관계기관 간 재난정보 실시간 공유 및 '날씨 제보톡'을 활용한 주민 제보 기반 현장 모니터링 실시
④ 제설 및 고립상황 신속 대응
· 도로살얼음 상시대응체계 가동 및 강설 예보 전 취약구간 제설제 사전 살포 진행
· 고립우려 지역 비상연락망 구축 및 구호물품 전진배치
· 고난도 구난 대비 특수 대형구난차 협력망 구축 및 특보 시에는 대형구난차 현장 사전 배치
■ '25~'26년 겨울철 자연재난 종합대책 발표 [한파]
① 한파 대응체계 정비
· 한파쉼터 사전점검 및 한파 대책비(재난특교세) 50억 원 선제 지급
· 중앙·지방정부 및 유관기관 간 기상정보 및 피해상황 실시간 소통 및 대응을 위한 관리체계 상시 운영
② 대상별 맞춤형 안전관리
· 한파 보호대상 세분화 및 맞춤형 안전관리 강화
· 특보 시 어르신 대상 안부확인 강화 및 방한용품 지원
· 저소득층 대상 난방비 지원 및 주거환경 개선 실시
· 사업장 근로자 대상 안전수칙 준수 여부 수시 점검, 쉼터 운영
③ 인프라 구축·운영
· 다양한 형태의 시설(경로당, 도서관 등)을 활용한 한파 쉼터 운영
· 수온관측망 확충, 저수온 대응장비 보급 및 조기출하 등의 지원으로 양식 피해 최소화
· 농·축산물 보호를 위해 한파예방시설(다겹보온커튼 등) 및 보온 대책 등의 기술 지원
· 수도계량기 보온조치 등의 행동요령 안내 및 동파 긴급복구를 위한 자원 확보 독려
- '25~'26년 겨울철 자연재난 종합대책 발표
국민께서 다가오는 겨울을 안전하고 따뜻하게 보내실 수 있도록 예보를 뛰어넘는 기상상황까지 고려하여 겨울철 자연재난 취약지역과 시설을 세심하고 꼼꼼하게 관리해 나가겠습니다!
예보를 뛰어넘는 기상상황까지 대비하여, 인명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11월 15일부터 겨울철 대설·한파대책기간을 운영합니다.
■ '25~'26년 겨울철 자연재난 종합대책 발표 [대설]
① 촘촘한 사전대비
· 17개 시·도에 재난대책비(재난특교세) 100억 원 선제 지급 완료
· 제설제, 제설장비·인력 등 사전 확보
· 지방정부의 겨울철 사전 대비 실태 점검 및 최종 준비 상황 확인
· 현장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합동훈련 및 기관별 현장훈련 실시
② 취약지역·시설 중점 관리
· 재해우려지역(적설취약구조물, 결빙취약구간 등) 지정 및 사전점검 실시
· 위험기상 시 지속적인 예찰·점검 활동 실시
· 적설로 인한 붕괴 취약시설(원예·특작시설, 전통시장 아케이드 등)의 내설 설계기준 개선
③ 강화된 상황관리
· 습설예보 전국 단위 확대 및 적설실황 표출 주기 단축 제공
· 실황 기반의 대설 재난문자 및 위험알림 음성메시지(VMS) 운영
· 관계기관 간 재난정보 실시간 공유 및 '날씨 제보톡'을 활용한 주민 제보 기반 현장 모니터링 실시
④ 제설 및 고립상황 신속 대응
· 도로살얼음 상시대응체계 가동 및 강설 예보 전 취약구간 제설제 사전 살포 진행
· 고립우려 지역 비상연락망 구축 및 구호물품 전진배치
· 고난도 구난 대비 특수 대형구난차 협력망 구축 및 특보 시에는 대형구난차 현장 사전 배치
■ '25~'26년 겨울철 자연재난 종합대책 발표 [한파]
① 한파 대응체계 정비
· 한파쉼터 사전점검 및 한파 대책비(재난특교세) 50억 원 선제 지급
· 중앙·지방정부 및 유관기관 간 기상정보 및 피해상황 실시간 소통 및 대응을 위한 관리체계 상시 운영
② 대상별 맞춤형 안전관리
· 한파 보호대상 세분화 및 맞춤형 안전관리 강화
· 특보 시 어르신 대상 안부확인 강화 및 방한용품 지원
· 저소득층 대상 난방비 지원 및 주거환경 개선 실시
· 사업장 근로자 대상 안전수칙 준수 여부 수시 점검, 쉼터 운영
③ 인프라 구축·운영
· 다양한 형태의 시설(경로당, 도서관 등)을 활용한 한파 쉼터 운영
· 수온관측망 확충, 저수온 대응장비 보급 및 조기출하 등의 지원으로 양식 피해 최소화
· 농·축산물 보호를 위해 한파예방시설(다겹보온커튼 등) 및 보온 대책 등의 기술 지원
· 수도계량기 보온조치 등의 행동요령 안내 및 동파 긴급복구를 위한 자원 확보 독려
- '25~'26년 겨울철 자연재난 종합대책 발표
국민께서 다가오는 겨울을 안전하고 따뜻하게 보내실 수 있도록 예보를 뛰어넘는 기상상황까지 고려하여 겨울철 자연재난 취약지역과 시설을 세심하고 꼼꼼하게 관리해 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