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12일자 세계일보의 <조선업 도우려…정부, 무리한 발주 논란> 제하 기사 관련 “취항 전 감리, 보완공사, 시범운항 등을 통해 선박 안전성에 문제가 없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세계일보는 60톤급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순찰선은 11월쯤 설계가 끝날 예정이나 9월부터 건조공사를 추진할 계획이어서 선박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추후 설계를 반영한 재공사나 보수공사도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또 5톤급 선박 3척은 기존 5톤급 선박 설계도를 이용할 계획이나 이 경우 수계별 수질 생태계와 연안 환경조사에 특화된 조사·순찰선을 만든다는 본래 사업목적에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현행법상 선박 건조공사는 기본설계 후 해양수산부 장관(선박안전기술공단 대행)의 검토·승인을 거쳐 실시설계와 건조공사 병행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순찰선의 기본설계는 9월중 완료 예정으로 기본설계 완료 즉시 건조공사를 발주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참고로 해양환경관리공단, 한국해양대 등에서도 기본설계 완료 후 실시설계와 건조공사를 동시 진행 중이다.
환경부는 낙동강 수질조사선 등 5톤급 선박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신규 건조하고자 하는 5톤급 선박은 기존 5톤급 선박과 기능·구조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기존 설계도를 활용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문의: 환경부 기획재정담당관 044-201-6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