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나고야의정서 대응 준비 착실히 진행

2016.09.16 환경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환경부는 국내 이행체계 마련, 해외 생물자원 부국과의 협력, 이익공유 예시계약서 배포 등 나고야의정서 대응을 위한 준비를 착실히 진행해 왔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12일 서울경제가 보도한 <나고야의정서 무방비 한국> 제하 기사에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서울경제는 이날 중국의 비준이 관련산업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용역을 최근 들어서야 긴급 발주했다고 보도했다.

또 업계는 정부의 늦장 정책, 깜깜이 대응에 대응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며 국내 자원 파악 등 정부차원의 대비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최근 발주한 용역은 중국의 나고야의정서 이행 법률 공개에 앞서 중국의 법률규정에 따른 구체적 영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나고야의정서 비준 및 제13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2016년 12월) 나고야의정서 관련 의제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용역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2011년 연구용역 이외에도 지속적으로 영향 분석, 생물자원관련 특허현황, 기업활동 조사 및 컨설팅 등 관련 연구를 추진해 왔다고 덧붙였다.

0-000

또 중국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2013년부터 업계와 공동으로 포럼을 개최해 관련 정보를 산학연 관계자 등과 공유해 왔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정부간 회의인 ‘한중일 생물다양성대화 ABS세미나’(4월) 등을 통해 중국의 나고야의정서 비준 및 입법동향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대학교수, 국책연구소 연구원 등 중국 측 나고야의정서 전문가가 참석한 제16차 ABS포럼(7월) 등을 개최해 중국을 포함한 주요국의 동향을 산업계와 공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기사에 언급된 해외 생물자원 이용업체와 중국을 이용하는 기업 비율 현황 역시, 환경부가 현황 파악 및 대응전략 마련 차원에서 한국바이오협회에 발주한 용역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또 ABS정보서비스센터(‘2011년 1월∼)를 통해 해외동향과 계약사례 등에 대한 정보와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개별기업별 맞춤형 컨설팅(2013년∼, 73회), ABS포럼(2012년∼, 16회) 등 산업계 지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는 국내 자원 파악 등 정부차원의 대비가 시급하다는 보도내용에 대해서는 생물자원 발굴 및 개발 등 대비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환경부는 생물주권 확보를 위해 2020년까지 6만종을 목표로 생물종목록을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있으며 산학연 협의체를 구성해 수요자 맞춤형 생물소재 개발 및 지원, 해외 생물소재 대체연구 등을 수행 중이라고 밝혔다.

또 나고야의정서 국내 이행체계 마련을 위해 이행법률인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법률’을 정부안으로 마련, 국회에 제출했으며 나고야의정서 비준동의안의 관계부처 협의를 완료하고 국회제출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의: 환경부 자연보전국 생물다양성과/국제협력관실 지구환경담당관 044-201-7246/658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