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코리아둘레길 조성, 보행 안전성 최우선

2016.10.06 문화체육관광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문화체육관광부는 6일 ‘코리아둘레길’과 관련한 일부 언론의 지적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우선 문체부는 “코리아 둘레길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초장거리 걷기길을 조성하는 사업으로서 새로운 길을 만드는 토목공사 없이 기존 길을 활용해 친환경적으로 ‘걷기길 네트워크’를 만드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문체부는 “코리아 둘레길은 사람들이 찾을 수 있고 지역의 문화, 역사, 스토리가 녹아있는 양질의 걷기여행길로 만들어질 것”이라면서 “코리아 둘레길에 포함되는 기존 길은 길 전문가들의 실사를 통해, 위험성이 있거나 길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져 사람들이 찾지 않는 구간을 제외하는 등 보행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해 노선을 공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코리아 둘레길은 내년에 시작해 2019년 임시개통을 목표로 3년의 사업기간을 예정하고 있으며 임시개통이란 걷기길 노선을 정하고 길 안내 표시를 간이 형태로 설치해 일단 사람들이 길을 찾아 걸을 수 있는 상태를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체부는 “임시개통 이후에도 길 노선의 정비, 안내시스템의 보완 등 지속적인 작업을 거쳐 정식개통이 될 것이며 이후로도 지속적인 관리운영을 통해 길의 완성도를 높여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기존 걷기길은 지자체나 정부부처에서 걷기길 인프라 조성을 위해 인공적인 시설을 설치하거나 새롭게 걷기길을 만드는 사업 방향에 따라 조성됐으나 이후 관리 부실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정부도 걷기길 조성 후 관리 부실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코리아둘레길 사업에서는 국가, 지자체, 민간이 협업해 걷기길 관리운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는 등 걷기길 관리의 체계적인 제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기존 걷기길 사업이 관 주도로 진행돼 걷기길 자체의 문제, 관리의 문제 등이 많다는 걷기길 관련 민간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코리아 둘레길 사업은 민간 주도로 추진하고 정부는 지원하는 형태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난 8월 걷기길 전문가, 지역문화전문가, 생태전문가, 관광전문가 등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민간추진협의회가 구성돼 사업 추진을 준비하고 있다.

문체부는 “건강한 여가활동인 걷기여행을 즐기는 국민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해 정부는 지자체 및 민간과 힘을 합쳐 국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 걷기여행을 통해 자연과 함께 힐링하고 재충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관광 활성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의 :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콘텐츠과 044-203-285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