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고독성물질 배출 저감 위해 다각적 노력

2016.10.11 환경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환경부는 발암물질 등의 배출저감을 위해 사업장별 배출량을 2010년부터 공개, 기업 스스로의 감축노력을 유도하고 배출저감 기술과 정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지역별·물질별 배출저감목표를 수립해 기업·지자체·환경청이 함께 배출저감을 이행하도록 협약체결·이행을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으로도 환경부는 고독성물질 배출사업장에 대해서는 배출저감계획을 수립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등 배출저감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는 10일 헤럴드경제 등이 보도한 <국민 740만명 발암·고독성물질에 무방비> 제하 기사에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언론들은 환경부 배출량 조사 결과 고독성물질 배출사업장(1314개) 주변 1마일(1.6㎞) 이내에 거주하는 ‘위험인구’가 총 740만명으로 우리나라 국민 100명 중 15명이 발암 및 고독성 물질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보도에서는 환경부에서 조사·공개한 화학물질 배출량조사결과를 활용해 발암·고독성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1314개) 주변 1마일(1.6㎞) 이내에 거주하는 인구를 ‘위험인구’로 분석한 자료를 인용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그러나 보도내용의 위험인구는 배출물질의 종류, 노출가능성 및 노출경로, 대기 중 농도 등 실질적인 위험도를 반영해서 분석한 것은 아니므로 해당 지역의 주민들이 무방비로 발암·고독성물질에 노출되고 있다는 보도내용은 과도한 해석이라고 반박했다.

문의: 환경부 화학안전과 044-201-684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