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산업부, 중기청 등 다양한 정부부처의 창업·중소기업 지원사업을 연계·활용해 창업기업에 대한 성장단계별 모든 주기 지원을 하고 있다”며 “센터 입주기업의 경우에도 창업성장단계에 따라 다른 유관기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창업~데스밸리 극복~도약 등의 기업성장단계에서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19일 JTBC 뉴스룸 <신생기업 발굴? ‘속빈’ 창조경제센터> <100억 들인 창조경제 혁신센터, 텅빈 이유> 제하 보도 중 ‘혁신센터가 중기청 등에서 지원받은 업체들을 중복 지원하고 있다’고 지적한데 대해 이같이 해명했다.
예를 들면 아이디어 사업화 단계에서 혁신센터 등으로부터 시제품제작을 지원 받고, 제품고도화를 위해 미래부·산업부 등의 R&D 사업을 지원 받을 수 있으며, 해외진출을 위한 혁신센터·유관기관의 지원도 받을 수 있다.
미래부는 “이 경우에도 혁신센터는 사업별 지원대상 선정평가 과정 중 유사한 성장단계에서 비슷한 성격의 사업에 대한 부당한 중복지원은 발생하지 않도록 중점적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래부는 ‘혁신센터의 업무가 창업보육센터, 테크노파크와 중복된다’는 기사 내용과 관련해서는 “혁신센터는 전담대기업과 연계해 창업지원, 중소기업 혁신, 특화사업 육성, 고용지원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지역 거점으로 보육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며 “아이디어 사업화의 모든 단계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차별성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기청의 ‘창업보육센터’는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대학 등의 공간을 활용해 사업추진에 필요한 입주공간 제공, 경영 기술 분야에 대한 지원이 주기능이며 산업부의 ‘테크노파크’ 역시 기존 산업의 경쟁력 유지 및 강화, 강소기술 기업 육성 중심의 지원기관으로 주로 도시 외곽 및 부심에 위치한 기존 산업단지와 연계를 통해 지역 기존 중소기업의 성장 및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지역창조경제협의회 등을 통해 혁신센터를 중심으로 한 지역 혁신기관 간 연계·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혁신센터 졸업기업의 후속 지원을 위해 창업보육센터의 입주공간을 활용하고 있고 혁신센터 보육기업의 R&D 연계를 위해 테크노파크와 협업을 추진 중에 있다”고 말했다.
‘혁신센터 입주시설에 입주기업 직원이 상주하지 않는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혁신센터 입주기업의 대부분이 3년 이하 초기 스타트업으로 시장조사, 자금유치, 판매처 발굴 등의 외부 비즈니스 활동이 많아 입주시설에 늘 머무르며 활동하는 것은 아니다”며 “보도에서 언급한 전남 혁신센터의 경우, 취재 당시 총 17개 입주기업이 외부 비즈니스 활동(판매처 발굴을 위한 영업활동 9개사, 세미나·교육 참석 5개사, 제품생산 점검 2개사, 지자체 업무협의1개사)으로 인해 시설을 비웠었다”고 해명했다.
미래부는 아울러 ‘지역 혁신센터에 다른 지역 업체들의 원정입주가 성행하고 있다’는 지적과 관련해서는 “혁신센터 입주 기업은 지원 자격을 보다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공모전·경진대회 등을 통해 선발되는 경우 지역 외 기업도 입주 대상으로 선정되며 센터소재 지역 외 기업이라도 센터의 특화사업 등과 관련된 유망 기업들을 발굴하고 지역으로 유치해 지원·육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남센터의 제이투씨는 경기도 시흥에서 경남센터 입주 후 경남지역으로 소재지를 이전했고 광주센터의 제이카는 서울에서 광주센터 입주 후 광주지역으로 소재지를 옮겼다.
문의 : 미래부 창조경제진흥과(02-2110-1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