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27일자 서울경제 <“바이오 주체·예산 집행 중구난방···범정부 컨트롤타워 시급”
>제하 보도와 관련, “바이오특별위원회는 지난 3월 설치된 이후 기초연구, 사업화, 인허가 규제, 산업인프라(인력양성 등) 등 바이오 생태계 전반의 부처간 정책 조정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3조원에 달하는 정부의 바이오 R&D 예산 배분·조정 및 평가와 직접 연계하여 정책 조정의 실효성을 높여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덧붙여 “바이오특별위원회는 미래부, 복지부, 산업부, 농림부, 해수부, 식약처 등 주요 부처가 모두 참여해 바이오 육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 마련과 현안 문제 해결을 강화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3차례 회의를 통해 그간 현장의 고질적 문제점으로 지적된 R&D 유사중복, 부처간 협조 부족, 과다한 규제, 창업 등 사업화 투자 미흡,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를 과감히 개선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산학연 연계 협력이 중요한 만큼 클러스터를 통해 효과적인 육성이 가능하므로 지자체가 관심을 갖고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정하는 것은 긍정적인 부분도 있으나 유사한 클러스터가 여러 군데 조성돼 불필요한 재원이 낭비되지 않도록 현재 바이오특별위원회 차원에서 범부처 바이오클러스터 육성을 방안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바이오는 타분야와 달리 기초연구, 응용개발연구, 규제, 산업화 등 단계가 복잡하고 사업화 주기가 매우 긴 만큼 단일 부처에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앞으로 바이오특별위원회는 범부처 바이오컨트로타워로서 관련 부처, 관련 단체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현장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고 중장기 육성 전략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서울경제는 “바이오특별위원회가 운영되고 있으나 관련 부처가 많은 바이오 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장관급 이상의 범정부 협의체가 필요하다”면서 “송도, 오송 이외의 판교, 대덕, 서울 홍릉 등 지자체마다 무분별하게 바이오 클러스터를 육성하고 있으며 제약협회(복지부), 바이오협회(산업부), 바이오의약품협회(식약처) 등 협회도 난립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문의 : 미래부 과학기술전략과(02-2110-2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