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14일자 아시아경제와 디지털타임스 <AIRI, 최순실 유탄에 좌초 위기> <AIRI, 대기업 출자에 청와대 개입설> 제하 보도와 관련 “AIRI의 대기업 출자와 관련해 지난 9월 29일 해명자료에서 밝혔듯이 청와대는 물론 미래부 차원에서 어떠한 압력도 행사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미래부 장관 등이 관련 기업을 만난 것은 지난해부터 준비해 오던 지능정보산업발전전략의 수립 과정에 있어 국내의 AI 전반에 대한 현황과 다양한 관련 기업들의 대응 방향 등을 파악하는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국회 예결위 소위에서 심사가 보류된 관련 사업 예산 150억원에 대해 미래부는 “이 예산이 공모를 통해 진행되고 있어 특혜성 시비는 없다는 점과 함께 한시라도 시급한 국내 지능정보기술력 확보를 위해 내년도 관련 예산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 등을 국회에 충분히 설명해 관련 예산의 확보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아시아경제·디지털타임스는 국회와 업계 등을 인용, “‘정보 통신기술판 미르재단’이라는 의혹이 있는 지능정보기술연구원(AIRI)의 대기업 출자 과정에 청와대가 개입했다는 주장이 있고 미래부 장관이 LG전자 책임자를 만나 AIRI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했다는 주장이 있으며, 미래부 공무원도 대기업 측 인사를 만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국회 예결위 소위에서 내년도 예산안 150억원이 보류되었는데, 이 또한 최순실 사태와 청와대 개입설의 연장선상”이라고 지적했다.
문의 : 미래부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02-2110-2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