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는 17일 녹색소비자연대 보도자료를 바탕으로한 OSEN, 이뉴스투데이의 <녹소연, 정부3.0앱 V20에는 선탑재 요청조차 안해> 제하 기사 관련 “녹색소비자 연대의 주장은 ‘정부3.0 서비스 알리미 앱’이 선탑재앱이라고 전제하고 있으나 ‘정부3.0 서비스 알리미 앱’은 미래부 선탑재 가이드라인의 적용을 받는 선탑재 앱이 아니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정부3.0 서비스 알리미 앱’은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첫 기동 시 ‘추천앱 목록’으로만 포함되고 이용자의 판단에 의해 설치된 후에도 언제든 삭제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참고로 미래부 ‘선탑재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선탑재 앱이란 ‘스마트폰을 한 번도 기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에 미리 설치된 앱’을 말한다.
행자부는 지난 3월 정부3.0 서비스에 대한 국민 접근성 제고를 위해 기종과 관계없이 삼성전자와 LG전자 양쪽에 모두 제안을 했으며 삼성전자와 긍정적인 협의가 먼저 진행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부3.0 서비스 알리미 앱’은 예산을 전용해 제작한 것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행자부는 올 초 사업계획 시부터 기존 정책 홍보 위주의 정부3.0 홈페이지를 공공서비스 안내 위주로 개편하고자해 추진된 하이브리드앱(웹사이트를 기반으로 한 앱)이라고 밝혔다.
또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한 앱으로 앱 자체 개발비가 약 500만원으로 저렴하며 웹사이트 기능개선 및 유지보수 사업 내에 과업이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행자부는 ‘정부3.0 서비스 알리미 앱’ 다운로드 수는 보도 내용대로 5만을 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지난 15일 기준으로 74만여 건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기사는 이날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에 선탑재 했던 ‘정부3.0 서비스 알리미 앱’을 LG전자 V20에는 선탑재 요청조차 하지 않았으며 지난 6월 ‘정부3.0 웹앱‘을 선탑재 요청했다가 성능 문제가 제기되자 ‘정부3.0 서비스 알리미 앱’을 만들게 되면서 기존 유지보수비에서 500만원을 전용했다고 보도했다.
또 갤럭시노트7이 약 50만대 판매됐음에도 ‘정부3.0 서비스 알리미 앱’ 다운로드 숫자가 5만을 넘지 못했다고도 언급했다.
문의: 행정자치부 창조정부기획과 02-2100-3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