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25일자 내일신문 <창조경제센터, 관치경제의 예고된 실패> 제하 기사와 관련, “대기업이 정부 요구에 마지못해 나섰고 역할도 정부가 규정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미래부는 “대기업은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경험과 노하우·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창업·중소기업에 상품개발, 판로 확보, 해외시장 진출 등을 지원하고 혁신센터를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플랫폼으로 활용해 창업·중소기업과의 협력으로 새로운 사업분야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기술개발, 협력기업 발굴 등의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혁신센터는 전담대기업이 참여해 창업지원, 중소기업혁신, 지역특화사업 육성, 고용지원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지역 거점이”이라며 “창업보육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아이디어 사업화의 모든 단계를 원스톱으로 지원한다는 점에서 테크노파크와 차별성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미래부는 “전북혁신센터 창업공모전 공고시 투자자금지원 여부는 전문가 심사를 통해 별도 선정한다고 명기했으며, 펀드 투자운용사의 심사결과 해당업체가 지원 대상에 선정되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내일신문은 기사에서 “대기업이 자발적으로 혁신센터를 구축한 게 아니라 정부 요구에 마지못해 나섰고 역할도 정부가 규정했으며, 혁신센터와 테크노파크의 업무가 중복되고 수혜기업도 겹친다”, “전북혁신센터 창업공모전에서 수상자에게 투자금 지원 특전을 제공한다고 해 참여, 최우수상을 수상했으나 센터로부터 투자지원을 한푼도 받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문의 : 미래부 창조경제진흥과(02-2110-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