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용산 미군기지 지하수와 관련한 19일자 한국일보의 <“내용 누락…원본 아닌 가공본” 정부 공개자료 부실 논란도> 제하 기사에 대해 “당초 계획된 18개 관정 중 실제 현장에서 지하수 시료채취가 가능했던 14개 관정에 대해서만 분석이 이루어진 바, 누락된 정보는 전혀 없다”고 밝혔다.
참고로 환경부는 소송의 대상이 된 공개요구정보의 원본인 분석결과를 법원에도 동일하게 제출한 바 있다.
환경부는 이번 정보공개 청구인에게 자료 제공 시 이해를 도울 목적으로 분석 결과 외에 조사지역 등을 기재했으나 현재 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기지 내부 관측정의 상세위치를 제공하기는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또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2, 3차 조사결과를 포함한 미측과 합의된 최종 결과보고서를 마련하고 정보공개 등 향후 조치방안을 관계부처와 논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일보는 이날 재판 과정에서 환경부가 미군기지 내부 18곳 관정의 지하수를 채취한 것으로 확인했으나 공개된 자료에는 4곳의 결과가 누락돼 있고 조사지점 위치도 정확히 표기돼 있지 않아 원본이 아닌 가공한 자료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보도했다.
또 신수연 녹색연합 평화생태팀장의 말을 인용, 환경부가 용산 미군기지 1차 내부오염 조사결과를 가공해 공개한 것은 법원의 결정에 따르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언급했다.
문의: 환경부 토양지하수과 044-201-7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