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중앙일보 <탈원전 대안 LNG 확보대책도 없다> 제하 기사에 대해 “정부는 에너지정책방향에 맞추어 LNG 수요증가에 대응해 나가고 있으며, 올해 말 제13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을 통해 안정적인 가스수급을 위한 도입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관련법에 따라 1991년이후 격년으로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을 수립하면서 LNG에 대한 장기도입 전략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왔다. 제8차 전력수급계획에서 확정될 전력믹스 변화에 따른 LNG 수요에 맞추어 천연가스 수급계획을 마련했다.
산업부는 “LNG분야 주요 전문지(Wood Mackenzie 등)에서는 현재 2020년 중후반까지 다량의 확보가능한 물량이 있다고 보고 있으며, 대규모 도입물량이 종료되는 2020년 중반까지 도입을 위한 시간을 고려할 때 향후 LNG 수급대응은 가능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미국산 LNG 가격경쟁력은 유가에 따라 변동되며, 향후 국내 수급상황과 가격 등을 고려해 도입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이날 중앙일보는 “정부가 원자력 발전 대체를 위해 수입 확대를 추진 중인 미국산 LNG가 다른 지역 LNG에 비해 상당히 비싼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되는데, LNG 의존 심화와 발전 비용 상승이 맞물리면서 전기료 인상 등 국민 부담이 높아질 수 있다”면서 “정부의 ‘탈 원전, 탈 석탄’ 기치에 따라 안정적인 LNG 공급 채널 구축이 필수적이지만 장기적 확보 전략이 수립돼 있지 않은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고 보도했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가스산업과 044-203-5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