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전기차 보조금 지원단가 인하해도 세계 최고수준

2017.12.27 환경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환경부는 한국의 전기차 보조금 지원단가는 세계 최고수준으로 단가를 200만원 인하해도 최고수준인 바, 지원액이 급격히 급락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또 국회 등에서 현재의 지원 단가를 유지할 경우 재정이 과도하게 증가하며 전기차 수요가 증가하는 현실여건 등을 감안해 보조금 지원단가는 조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환경부는 26일 아시아경제가 보도한 <전기차 보조금 역주행 정책> 및 <말로만 성장 동력이라는 정부, 전기차 육성보다 규제에 주력> 제하 기사들에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기사는 이날 전기차 보조금이 기존 대당 1400만원에서 1200만원으로 200만원 줄어들고 저온주행거리에 대한 기준이 신설돼 전기차 시장 성장에 제약이 있다고 보도했다.

또 전기차 충전소가 부족한 실정인데 내년부터 충전소 지원금이 축소되고 정부는 자동차 업체에 친환경차를 일정비율 이상 팔도록 할 방침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저온주행거리 기준은 그간 이용자들의 불만이 많았던 겨울철 1회 충전 주행거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업계 등과 협의, 지난 9월 15일부터 개정·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또 이는 겨울철 일정거리 이상의 주행거리를 보장함에 따라 전기차 이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자동차업체의 기술개발을 유도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환경부는 충전기 인프라 확대를 위해 충전인프라 구축 예산은 2018년 895억원으로 2017년 547억 대비 60%이상 증액했다고 반박했다.

다만, 충전기 설치 물량 증가, 기술발전, 설치비 하락 및 완속충전기 설치 확대를 위해 단가 인하를 검토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환경부는 국회에서 저공해차 의무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대기환경보전법 개정안’을 발의했으며 구체적인 시행사항을 하위법령에서 정하도록 하고 있어 적용범위 및 부담수준 등 세부사항은 정해진 바 없다고 밝혔다.

또 전기차 등 친환경차 보급정책을 펼치는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에서는 공통적으로 보조금 등 인센티브 정책과 함께 '친환경차 의무판매제' 등 제도적 장치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으며 이 제도의 시행은 글로벌 트렌드로서 업계도 책임감을 갖고 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문의: 환경부 청정대기기획과 044-201-6880/688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