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조선일보 <한전의 한숨... 유가 뛰는데 원전8기는 놀고 있다>제하 기사에 대해 “해당 기사는 정부가 에너지전환정책 때문에 인위적으로 원자력발전비중을 줄이고 LNG와 석탄발전 비중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보도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또 “전체 원전의 3분의 1을 동시에 정비하는 건 이례적... ‘보통 원전 예방정비는 두 달 안에 끝난다’, ‘탈원전정책 때문으로 보인다’ 라는 보도내용 역시 사실과 다르다”고 덧붙였다.
산업부는 “현재 전체 원전 24기중 8기가 정비중인 것은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과는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특정시기에 전체 원전대비 정비 원전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고 작을 수는 있으나, 이는 원전의 계획예방정비를 일정주기별로 수행함에 기인한다. 관련 규정과 절차에 따라 경수로형 원전의 경우엔 18개월을 주기로, 중수로형 원전의 경우엔 15개월을 주기로 계획예방정비를 수행하는데, 일부 원전에서 비정상적인 문제가 발견돼 정비기간이 늘어날 경우까지 함께 감안할 경우 시기별 정비원전비중은 유동적일 수 밖에 없다.
<최근 5년간 원전정비 현황 (5.12~16일 기준)>
산업부는 “지난 2016년에서 2018년 초까지 계획예방정비 원전수가 증가한 사유는 격납건물 철판부식, 콘크리트 공극 등 건설 과정에서의 작업관리 미흡으로 인한 문제점이 다수호기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확인됨에 따라 정비기간이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해명했다.
아울러 산업부는 “통상적인 계획예방정비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2달 내외가 소요되나, 정비과정에서 안전관련 주요 설비에 문제가 발견될 경우 정비기간이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말했다.
※ 최근 5년간 주요 정비 사례
일부 원전의 경우 정비기간이 1년 가까이 늘어나고 있으나, 이는 통상적인 계획예방정비가 아니라 국민안전에 직결된 설비에 비정상적인 문제가 발견되어 이를 원자력안전법 등 관련기준과 절차에 따라 철저히 정비함에 기인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산업부는 “원전의 안전점검은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철저한 정비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한 이후 재가동하는 것이 원칙이며 정비기간의 길고 짧음이 이에 우선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진흥과 044-203-5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