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전자신문 <출발부터 삐걱대는 ‘청년 TLO 육성 사업’ 부담만 크고 성과는 내기 어려운 사업>기사에 대해 “이공계 졸업생이 일자리를 찾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는 ‘청년 기술이전전담조직(TLO) 육성사업의 목적과 정체성이 불분명한 데다 예산이 부족해 실효성이 의문시되며, 대부분의 대학이 과기정통부의 권유에 참가, 대학원 진학 예정자와 조교, 창업예정자 등을 채용하고 인건비를 보조하는 형태’라고 보도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이 사업은 세가지 목적으로 ▲미취업 이공계 졸업생에게 일정기간의 일자리 제공 ▲실험실 기술과 기업의 이해 제고로 사업 종료 후에도 일자리 찾는 기회 부여 ▲대학이 보유한 우수 기술의 기업이전 촉진 기여”라고 소개했다.
한편 사업운영과 관리에 대해 “최대 3년간 지원 중 1년차 성과를 평가해 추가 지원을 결정하는데, 현장 모니터링과 취업 컨설팅 등을 지속적으로 병행한다”고 밝히며 “미취업 이공계 졸업생이 대상이므로 실험실 조교 등 이미 채용된 사람은 활용할 수 없고, 다만 재학 중 창업을 준비한 학생이 졸업 후 창업을 이어나가기 위한 지원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수행대학의 인센티브와 관련하여 “예산은 인건비(95%) 중심이지만, 대학이 지원 관리 비용을 사용할 수 있도록 추가적 반영을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적극적인 현장 소통과 설명회를 통해 67개 대학이 신청했고, 대학 취업률 반영은 대학의 건의 사항을 교육부와 협의한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성과일자리정책과 ☎ 02-2110-2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