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쌀 이외 식량작물 생산기반 확충 등 대책 마련

2018.10.29 농림축산식품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쌀을 제외한 식량작물은 기계화율이 낮고 생산·유통 기반 취약 등으로 자급률이 낮은 상황”이라며 “생산기반 확충과 정비 추진 등으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농식품부는 10월 26일 국민일보 <콩 자급률 22%·옥수수 3%… 쌀 수급 매달리다 ‘식량주권’ 놓친다>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습니다. 

[보도 내용]

주식인 쌀을 제외한 콩, 옥수수 등의 식량작물 및 사과·배 등 종자 80%이상 외국산에 의존하고 있어 식량 주권을 위협

[부처 설명]

농식품부는 국민의 안정적 식량을 공급하기 위해 5년마다 자급률 목표치를 설정하고, 매년 자급률 실적을 점검하는 등 자급률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2022년 식량/곡물자급률 목표치 : 55.4%, 27.3%

쌀은 우리 국민의 주식으로 전체 농업생산액의 14%, 전체 농가의 56%를 차지하는 만큼 중요함

이처럼 쌀 산업이 안정되어야 농가소득은 물론 농촌경제도 안정될 수 있으므로 쌀 중심의 정책이 불가피한 측면도 있음

반면, 쌀을 제외한 식량작물은 기계화율이 낮고 생산·유통 기반이 취약하며 수입산에 비해 국내산 가격이 높아 자급률이 낮은 상황임(2017년 기준 식량자급률 48.9%)

* 기계화율(2016년) : 논농업 97.9% 밭농업 58.3%

* 국산/수입산 가격차(2017년): 콩 4.2배, 밀 3.7, 팥 5.3, 녹두 1.6

쌀 이외의 식량작물은 생산 뿐만 아니라, 소비기반이 취약하여 생산이 늘면 가격이 하락하는 등 수급불안 문제도 있음 

올해 보리의 생산 증가* 및 밀의 재고** 문제에서 보듯이 생산이 늘더라도 수요처가 확보되지 않으면 가격이 하락하여 농업인이 손실을 입을 수밖에 없음  

* 2017년 보리 재배면적 급증에 따라 약 2만톤이 과잉 생산되어 가격 하락이 우려되어 농협에서 전량 수매 추진

** 밀은 계속되는 소비정체로 2017년산 15천톤(9월말)이 민간재고로 남아있는 상황

이에 농식품부는 콩·밀을 포함한 주요 식량작물의 생산기반을 확충하고 수요를 확대하는 등 쌀 이외 타작물을 생산하는 농업인의 소득이 안정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임

올해부터 시행 중인 생산조정을 통해 기존에 쌀을 재배하던 농지에 콩을 포함한 주요 식량작물이 재배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자급률을 제고할 계획임

또한, 쌀 이외 식량작물의 주산지를 중심으로 기계화·단지화를 추진하여 생산기반을 확충하는 한편,

밭작물 기계화율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가고 농지 범용화 등 생산기반 정비를 추진해 나갈 계획임

소비 확대를 위해 군·학교 등 공공기관 급식과 연계한 대량 수요처를 중심으로 수요 확대도 촉진하겠음

아울러, 쌀에 편중되어 있는 직불제 개편을 통해 쌀 중심의 생산구조를 개선하고, 다른 품목의 소득안정 및 재배확대를 도모하여 균형된 작물생산과 곡물자급률을 향상해 나가겠음

* 전체 직불금 대비 쌀직불 편중 : (2015년) 77.3% → (2016년) 80.7% → (2017년) 80.7%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사과·배와 같은 외국산 종자 점유율이 높은 작물을 국산으로 대체하기 위해 국산 품종개발 및 보급 확대를 위해 지속 노력하겠음

* 식량종자(벼, 보리, 서류, 식용콩) 자급률은 100% 수준

* 딸기 국산품종 자급률은 (2012년) 74.5% → (2017) 93.4%로 확대

* 사과/배 국산품종 자급률(2017년 기준) : 18.9%, 13.8%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과(044-201-1815), 종자생명산업과(044-201-2475)

하단 배너 영역